암시적 주소지정방식에서 'stack의 top 포인터가 가리키는 operand를 암시하여 이용한다'가 무슨 말인지 전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또계산에 의한 주소지정 방식에서 operand부와 cpu의 특정 레지스터의 값이 더해져 유효주소를 계산하는 방식이다와 주소의 일부분을 생략한다는 게 무슨 뜻인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1)
암시적 주소지정방식은 스택 머신을 사용하는 구조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별도의 주소지정 과정 없이 현재 스택의 Top 포인터(가장 최근에 삽입된 자료 혹은 가장 먼저 제거될 대상)를 대상으로 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암시적, 묵시적이란 의미는 이미 Operand가 묵시적으로 정해져 있다(스택의 Top 포인터로)는 의미입니다.
암시적 주소지정방식은 주소를 지정하는 필드가 없는 0번지 방식으로 속도가 빠릅니다.
2)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방식은 본래의 주소가 아닌 생략된 약식 주소가 기억되어 있어 유효 주소를 알기 위해서는 특정 값이 더해져서 계산되는데, 이 때 더해지는 값이 PC이면 상대주소지정, Base Register이면 베이스 레지스터 주소지정, index Register이면 인덱스 주소지정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4-14 09:47:11
안녕하세요.
1)
암시적 주소지정방식은 스택 머신을 사용하는 구조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별도의 주소지정 과정 없이 현재 스택의 Top 포인터(가장 최근에 삽입된 자료 혹은 가장 먼저 제거될 대상)를 대상으로 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암시적, 묵시적이란 의미는 이미 Operand가 묵시적으로 정해져 있다(스택의 Top 포인터로)는 의미입니다.
암시적 주소지정방식은 주소를 지정하는 필드가 없는 0번지 방식으로 속도가 빠릅니다.
2)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방식은 본래의 주소가 아닌 생략된 약식 주소가 기억되어 있어 유효 주소를 알기 위해서는 특정 값이 더해져서 계산되는데, 이 때 더해지는 값이 PC이면 상대주소지정, Base Register이면 베이스 레지스터 주소지정, index Register이면 인덱스 주소지정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