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름 이해하고 넘ㅅ어가려고 답도밧는데요. 디버깅도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겟네요. 전혀. 몰라서 무슨 의미인지 모르겟네요ㅡ ㅡ
안녕하세요.
소수를 구할 때 소수의 배수는 소수가 아니라는 것을 이용하여 소수를 구할 때마다 소수의 배수의 위치에 0을 기억시키는 순서도입니다.
즉 2가 소수이므로 소수의 배수인 4, 6, 8, 10, .... 위치에 0을 기억시킵니다.
이때 첨자의 위치와 실제 0이 기억될 위치에 차이가 있어 혼동을 많이 합니다.
2가 구해졌을 때 2는 A(1)에 기억되고, 2의 배수의 위치는 A(3), A(5), A(7), A(9) .. 입니다.
즉 증가되는 위치는 M=M+A(i)가 됩니다.
i가 1이고 M=i에 의해 M도 1이 된 상태에서 A(i)에 2가 기억되므로
M = M+A(i) = 1+2가 되어 M은 3이 됩니다.
A(M)=0에 의해 A(3)에 0
다시 M=M+A(i)에 의해 A(5)에 0, A(7)에 0과 같이 진행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9-03 09:18:57
안녕하세요.
소수를 구할 때 소수의 배수는 소수가 아니라는 것을 이용하여 소수를 구할 때마다 소수의 배수의 위치에 0을 기억시키는 순서도입니다.
즉 2가 소수이므로 소수의 배수인 4, 6, 8, 10, .... 위치에 0을 기억시킵니다.
이때 첨자의 위치와 실제 0이 기억될 위치에 차이가 있어 혼동을 많이 합니다.
2가 구해졌을 때 2는 A(1)에 기억되고, 2의 배수의 위치는 A(3), A(5), A(7), A(9) .. 입니다.
즉 증가되는 위치는 M=M+A(i)가 됩니다.
i가 1이고 M=i에 의해 M도 1이 된 상태에서 A(i)에 2가 기억되므로
M = M+A(i) = 1+2가 되어 M은 3이 됩니다.
A(M)=0에 의해 A(3)에 0
다시 M=M+A(i)에 의해 A(5)에 0, A(7)에 0과 같이 진행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