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119쪽 질문이요
도서
[2011]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페이지
119
조회수
139
작성일
2012-04-03
작성자
첨부파일

가로 2번 다음 C=1 까지 이해가 갔습니다

하지만 갑자기 T(J)=1 부분부터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C=1이라는것은 2의 보수를 구하기 위해 캐리 값이 1이라는 것이죠?

1번 질문 : 근데 갑자기 T(J)에다가 1을 왜 넣는지 모르겠습니다

2번 질문 ; 그러고 다음 O(J)=C 여기서 캐리값이랑 O(J)랑 왜 비교 하는지..

3번 질문 : T(J)값에 0을 넣는지 모르겠습니다

다음 줄 C = O(J) X C 는 캐리값이 0일때와 1일때를 구별 하는 것이고

다음 J=J-1 부분은 배열 위치를 앞당기는것 까지는 알겠습니다

1,2,3번 질문좀 알려주세요

답변
2012-04-04 10:03:22

안녕하세요.

해당 모의고사는 교재 87~89쪽에 수록된 2의 보수 구하는 과정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1의 보수를 구하는 것이 이해가 되신 것 같습니다.

2의 보수를 구하는 방법은

1의 보수에 +1을 합니다.

+1을 할때 1의 보수의 값이 1이면 올림수가 발생합니다.

즉 결과는 0이고 올림수는 1이 되죠.

결국 현재 1의 보수의 값이 1이면 결과는 0이고 올림수가 1이 발생하는 것을 순서도로 구현한 것입니다.

T(J)에 미리 1을 넣어둡니다.

미리 넣어두면 T(J)가 0일 때만 즉 9번 동그라미가 Yes일때만 T(J)를 0으로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T(J) = 1의 과정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1이 됩니다.

올림수(C)에도 1을 넣어두고 시작하는 것입니다. 이는 87쪽 2의 보수를 구할 때도 같은 방법을 이용하였습니다.

1의 보수의 결과가 0101 011 이라면, 뒤에서부터 처리되므로

이제 O(J), 즉 1의 보수의 값 1과 C가 같으므로 T(J) 변환될 자리의 값을 0으로 합니다.

그리고 C는 O(J)*C 이므로 1이됩니다.

그 다음 다시 T(J)에 1를 미리 넣어두고 올림수와 7번째 1의 보수의 값을 비교하여 T(J), 즉 변환될 값을 처리합니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우선 디버깅을 진행하면서 값의 변화, 즉 2의 보수로 변환되는 과정을 살펴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2-04-04 10:03:22

    안녕하세요.

    해당 모의고사는 교재 87~89쪽에 수록된 2의 보수 구하는 과정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1의 보수를 구하는 것이 이해가 되신 것 같습니다.

    2의 보수를 구하는 방법은

    1의 보수에 +1을 합니다.

    +1을 할때 1의 보수의 값이 1이면 올림수가 발생합니다.

    즉 결과는 0이고 올림수는 1이 되죠.

    결국 현재 1의 보수의 값이 1이면 결과는 0이고 올림수가 1이 발생하는 것을 순서도로 구현한 것입니다.

    T(J)에 미리 1을 넣어둡니다.

    미리 넣어두면 T(J)가 0일 때만 즉 9번 동그라미가 Yes일때만 T(J)를 0으로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T(J) = 1의 과정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1이 됩니다.

    올림수(C)에도 1을 넣어두고 시작하는 것입니다. 이는 87쪽 2의 보수를 구할 때도 같은 방법을 이용하였습니다.

    1의 보수의 결과가 0101 011 이라면, 뒤에서부터 처리되므로

    이제 O(J), 즉 1의 보수의 값 1과 C가 같으므로 T(J) 변환될 자리의 값을 0으로 합니다.

    그리고 C는 O(J)*C 이므로 1이됩니다.

    그 다음 다시 T(J)에 1를 미리 넣어두고 올림수와 7번째 1의 보수의 값을 비교하여 T(J), 즉 변환될 값을 처리합니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우선 디버깅을 진행하면서 값의 변화, 즉 2의 보수로 변환되는 과정을 살펴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