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정말 이건 환장하겠습니다
아예 문제 자체를이해하지 못했습니다 ㄱ-....
알고리즘에서 1번의 설명에서 왜 A변수를 12까지 주었는지
왜 바로처음에 있는 A(i) 반복문이 12번이나 돌아가는지 정말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입력해서 실험하라고 한 값이 98765라는 뭐 이런 다섯자리의 수인데요
왜 한개의 수치를 12자리로 분리하여 입력받아야 하므로 라는 설명이 들어가있는지
아무것도 연결이 안되고 전혀 이해가 되질않습니다 ㅠㅠㅠㅠㅠ
아예 시작부터 배열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터라
어딜 모르겟고 딱 찝어서 말하기가 뭐합니다.
이 알고리즘의 원리는 이해했지만 그림으로 표현한 순서도에서 아주 환장하겟네요...
그리고 왜 A(1)이 0이면 입력을 마쳤다고 하는지도 잘 모르겟습니다...
안녕하세요
101쪽 문제를 보면 100건 이내의 12자리로 구성된 숫자를 더하는 순서도라고 되어 있습니다.
즉 최대로 999,999,999,999가 100건이 들어올 수 있을때도 처리할 수 있는 순서도라는 것이죠.
하지만 순서도를 확인할 때는 실질적인 큰 값으로 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여 5자리 숫자가 들어간다고 감안한 것입니다.
5자리만 들어가면 12번을 수행해서 6~12번 수행때는 의미없이 돌아가겠죠. 하지만 매번 큰 값만 입력받는 것은 아니니 이는 감안하는 것입니다.
또한 프로그램을 무한정 돌릴 수 없겠죠. 그래서 종료 기준을 정한 것입니다. 문제에 보면 배열의 첫 번째 요소로 0을 입력받으면 즉 맨 처음 입력 받은 값이 0이면 결과를 출력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는 기준을 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2-03-27 09:08:18
안녕하세요
101쪽 문제를 보면 100건 이내의 12자리로 구성된 숫자를 더하는 순서도라고 되어 있습니다.
즉 최대로 999,999,999,999가 100건이 들어올 수 있을때도 처리할 수 있는 순서도라는 것이죠.
하지만 순서도를 확인할 때는 실질적인 큰 값으로 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여 5자리 숫자가 들어간다고 감안한 것입니다.
5자리만 들어가면 12번을 수행해서 6~12번 수행때는 의미없이 돌아가겠죠. 하지만 매번 큰 값만 입력받는 것은 아니니 이는 감안하는 것입니다.
또한 프로그램을 무한정 돌릴 수 없겠죠. 그래서 종료 기준을 정한 것입니다. 문제에 보면 배열의 첫 번째 요소로 0을 입력받으면 즉 맨 처음 입력 받은 값이 0이면 결과를 출력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는 기준을 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