흠..
A(M) 이 점수를 입력 받아 A(M)에 저장한다.
라는 부가설명을보고 이해가 가질않아서요.
1. 왜 입력을 받아서 저장하는거죠? 지금 문제에는 이미 채점 점수가 배열에 들어있다고 가정을 했는데요
그리고
2. A(M) = x 일때 x의값을 A(M)에 넣는다는 형식은 알겠는데
왜 A(M) 이것 자체를 점수를 입력받아 A(M)에 저장했다고하는지 이해가 가질않네요..
안녕하세요.
A(M)이 속한 동그라미 4번의 기호가 외부에서 입력을 받을 때 사용하는 기호입니다.
M이 7보다 크거나 같으면 입력을 완료한다는 것은 7개의 자료를 입력받는 다는 의미입니다.
입력받은 값을 A(1)부터 A(7)까지 저장한 후 실질적인 평균 구하기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처리를 하려면 처리 대상이 있어야 하니, 우선 입력받고 처리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2-03-23 09:07:55
안녕하세요.
A(M)이 속한 동그라미 4번의 기호가 외부에서 입력을 받을 때 사용하는 기호입니다.
M이 7보다 크거나 같으면 입력을 완료한다는 것은 7개의 자료를 입력받는 다는 의미입니다.
입력받은 값을 A(1)부터 A(7)까지 저장한 후 실질적인 평균 구하기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처리를 하려면 처리 대상이 있어야 하니, 우선 입력받고 처리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