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그라미 11번에서 i =1 이라는 것은 석차를 구할 점수가 있는 위치를 나타냅니다
다음 12번에서 i가 점수의 갯수인 N보다 작으면 14번으로 넘어가게되고요
14번에서 비교할 점수가 있는 위치인 J는 1부터 시작합니다
여기서 질문 다음 15번에서 답이 J>N인데 옆에 해설로는 이해가 안갑니다
좀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릴게요 여기서 왜 비교할 점수가 있는 위치 J가 점수의 갯수보다
클때 i = i+1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i는 석차를 구할 점수가 있는 위치
J는 비교 대상 점수가 있는 위치입니다.
예를 들어
80 60 50 40 4명의 학생이 있습니다.
N은 4가 되겠죠.
i는 1이 되어 진행합니다. 즉 첫번째 학생의 석차를 구한다는 것이죠.
J도 1이 되어 진행합니다. 즉 석차를 구할 학생의 점수와 첫번째 학생의 점수를 비교한다는 것이죠.
i는 1인 상태에서, 즉 첫번째 학생의 석차를 구합니다.
J는 1, 2, 3, 4로 진행합니다. 즉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학생하고 점수를 비교해서 석차를 구하죠.
다음 i는 2인 상태에서, 즉 두번째 학생의 석차를 구합니다.
J는 1, 2, 3, 4로 진행합니다. 즉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학생하고 점수를 비교해서 석차를 구하죠.
역시 i는 3인 상태에서, 즉 세번째 학생의 석차를 구합니다.
J는 1, 2, 3, 4로 진행합니다. 즉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학생하고 점수를 비교해서 석차를 구하죠.
마지막으로 i는 4인 상태에서, 즉 네번째 학생의 석차를 구합니다.
J는 1, 2, 3, 4로 진행합니다. 즉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학생하고 점수를 비교해서 석차를 구하죠.
J는 매번 1부터 4까지 진행하는데, 4라는 것은 N에 기억된 학생 수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J는 항상 N(4)보다 작거나 같을때까지 진행해야 합니다.
즉 작거나 같은 때는 점수 비교를 하기 위해 17번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다음 학생의 석차를 구하기 위해 16번으로 갑니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J > N으로 하여 Yes면 16번으로 No면 17번으로 진행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2-03-21 09:11:57
안녕하세요.
i는 석차를 구할 점수가 있는 위치
J는 비교 대상 점수가 있는 위치입니다.
예를 들어
80 60 50 40 4명의 학생이 있습니다.
N은 4가 되겠죠.
i는 1이 되어 진행합니다. 즉 첫번째 학생의 석차를 구한다는 것이죠.
J도 1이 되어 진행합니다. 즉 석차를 구할 학생의 점수와 첫번째 학생의 점수를 비교한다는 것이죠.
i는 1인 상태에서, 즉 첫번째 학생의 석차를 구합니다.
J는 1, 2, 3, 4로 진행합니다. 즉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학생하고 점수를 비교해서 석차를 구하죠.
다음 i는 2인 상태에서, 즉 두번째 학생의 석차를 구합니다.
J는 1, 2, 3, 4로 진행합니다. 즉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학생하고 점수를 비교해서 석차를 구하죠.
역시 i는 3인 상태에서, 즉 세번째 학생의 석차를 구합니다.
J는 1, 2, 3, 4로 진행합니다. 즉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학생하고 점수를 비교해서 석차를 구하죠.
마지막으로 i는 4인 상태에서, 즉 네번째 학생의 석차를 구합니다.
J는 1, 2, 3, 4로 진행합니다. 즉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학생하고 점수를 비교해서 석차를 구하죠.
J는 매번 1부터 4까지 진행하는데, 4라는 것은 N에 기억된 학생 수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J는 항상 N(4)보다 작거나 같을때까지 진행해야 합니다.
즉 작거나 같은 때는 점수 비교를 하기 위해 17번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다음 학생의 석차를 구하기 위해 16번으로 갑니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J > N으로 하여 Yes면 16번으로 No면 17번으로 진행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