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219쪽 질문이요
도서
[2011]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페이지
219
조회수
79
작성일
2012-03-13
작성자
첨부파일

X = 2, 1, -1이 있습니다

해설에보면 X가 2일때 P배열을 Q배열로 2가 아닐때 Q배열에서 P배열로 치환 한다고 하는데

왜 X가 2일때 P배열에서 Q배열로 치환하고 2가 아닐땐 Q배열에서 P배열로 치환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X = 2, 1, -1 이부분 자체가 이해가 안합니다..ㅠ 설명 해주세요

답변
2012-03-14 09:57:01

안녕하세요.

치환 작업을 두 번해야 하는데, 그 중 한번은 A에서 B로, 또 다른 한 번은 B에서 A와 같이 진행할 때

기준을 두는 것입니다.

X가 2일 때는 A에서 B로 치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자

X가 1일 때는 B에서 A로 치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자

물론 두 순서를 변경해도 됩니다.

그러면

X = 1, 2, 1이 되겠죠.

알고리즘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7을 산출할 때 1+6으로 할 수도 있고, 8-1로도 할 수 있으며, 21/3으로도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7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지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

1 + ( ) 게 되어 있다면 더하기를 사용하고 앞에 1이 있다면 괄호를 6이구나를 찾을 수 있듯이 말이죠.

간단한 예를 들었지만 정보처리 시험이 이와 같이 이미 만들어진 순서도를 파악하여 파악된 방법에 맞게 진행하면서 빈 괄호를 채우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고정된 것은 없습니다. 그래서 알고리즘은 암기가 아닌 이해라고 강조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2-03-14 09:57:01

    안녕하세요.

    치환 작업을 두 번해야 하는데, 그 중 한번은 A에서 B로, 또 다른 한 번은 B에서 A와 같이 진행할 때

    기준을 두는 것입니다.

    X가 2일 때는 A에서 B로 치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자

    X가 1일 때는 B에서 A로 치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자

    물론 두 순서를 변경해도 됩니다.

    그러면

    X = 1, 2, 1이 되겠죠.

    알고리즘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7을 산출할 때 1+6으로 할 수도 있고, 8-1로도 할 수 있으며, 21/3으로도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7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지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

    1 + ( ) 게 되어 있다면 더하기를 사용하고 앞에 1이 있다면 괄호를 6이구나를 찾을 수 있듯이 말이죠.

    간단한 예를 들었지만 정보처리 시험이 이와 같이 이미 만들어진 순서도를 파악하여 파악된 방법에 맞게 진행하면서 빈 괄호를 채우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고정된 것은 없습니다. 그래서 알고리즘은 암기가 아닌 이해라고 강조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