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기 2번에 보면 답이 A(i) = 0 이라고 씌여져 있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0을 A(i)에 넣는 다는것은 2의 배수 또는 3의 배수에 0을 넣는다는 말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i가 1일때 A(1)에다 0을 넣게 되는데 그렇게되면 배열 A(1) 가 원래 2였는데 0을 넣는다는 것은 잘못되지 않았나요? 2는 소수 인데...
i 가 1일때
쉽게말해 A(i) = 2인데 왜 여기다가 0을 집어 넣는지를 모르겟어요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것이면 알려주세요
또 3번에서 M을 i로 변화 시킬 필요가 잇나요?
만약 변경 안해주면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세요..ㅠ
안녕하세요.
괄호 2번의 A(i) = 0 은 A(i)에 0을 넣는다는 것이 아니라 .. A(i)의 값이 0인지 비교하는 조건 판단문입니다.
다이어몬드 도형은 조건 판단을 하는 IF문입니다.
즉 A(i)가 0이라는 것은 현재 어떤 수의 배수라는 것이며, 어떤 수의 배수는 소수가 아닌 경우입니다.
M을 i로 변환하는 것은 65쪽 사이드에 설명이 되어 있듯이 소수의 배수 위치에 0을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해당 페이지의 전문가의 조언으로 언급된 설명을 참고하세요.
알고리즘은 반드시 직접 디버깅을 수행하여 과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눈으로만 확인하면 혼동되며,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어렵다고 느껴지기 쉽습니다. 그러니 반드시 디버깅을 수행하여 과정을 꼭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셔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2-03-12 09:30:24
안녕하세요.
괄호 2번의 A(i) = 0 은 A(i)에 0을 넣는다는 것이 아니라 .. A(i)의 값이 0인지 비교하는 조건 판단문입니다.
다이어몬드 도형은 조건 판단을 하는 IF문입니다.
즉 A(i)가 0이라는 것은 현재 어떤 수의 배수라는 것이며, 어떤 수의 배수는 소수가 아닌 경우입니다.
M을 i로 변환하는 것은 65쪽 사이드에 설명이 되어 있듯이 소수의 배수 위치에 0을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해당 페이지의 전문가의 조언으로 언급된 설명을 참고하세요.
알고리즘은 반드시 직접 디버깅을 수행하여 과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눈으로만 확인하면 혼동되며,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어렵다고 느껴지기 쉽습니다. 그러니 반드시 디버깅을 수행하여 과정을 꼭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셔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