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외래키
p.336에서 Foreign key 설명문단의 cascade, no action설명에서 기본테이블과 참조테이블이 각각 어떤것을 뜻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p.337의 테이블 코딩에서 예를들자면 기본테이블은 학생테이블이고 참조테이블은 학과 테이블인가요?
2. 레코드
테이블에서 사용하는 레코드란 개념이 어떤거죠? 필기때 열심히 공부안해서그런지 생각이 안나서요,,죄송합니다..
3. 함수종속
p.400 완전함수종속과 부분적 함수종속의 개념이 이해가 잘안됩니다.
제가 이해한바로는 완전함수종속은 한 릴레이션 내에서 기본키 혹은 결정자에만 종속된 속성이고 부분적함수종속은 기본키에도 종속이 되어있으면서 기본키가아닌 다른 속성들간에도 종속이되는 속성인가요?
안녕하세요.
1)
학생 테이블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외래키를 지정하므로 학생 테이블이 기본 테이블이고
외래키로 지정한 전공 속성이 참조하는 학과 테이블이 참조 테이블이 됩니다.
2)
레코드란 하나의 행, 즉 튜플을 의미합니다.
282p 예제의 고객 테이블을 예로 들면
001, 이동규, 남, 서울시
위 내용이 하나의 레코드(튜플)가 됩니다.
즉 <고객> 테이블에는 현재 4개의 레코드가 있는 것이죠.
3)
함수적 종속이 이뤄지고 있으면 부분 함수적 종속, 함수적 종속이 이뤄지고 있지 않으면 완전 함수적 종속입니다.
397p 상단 잠깐만요와 사이드 내용을 통해 두 개념의 차이를 다시한번 확인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1-09-19 09:55:33
안녕하세요.
1)
학생 테이블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외래키를 지정하므로 학생 테이블이 기본 테이블이고
외래키로 지정한 전공 속성이 참조하는 학과 테이블이 참조 테이블이 됩니다.
2)
레코드란 하나의 행, 즉 튜플을 의미합니다.
282p 예제의 고객 테이블을 예로 들면
001, 이동규, 남, 서울시
위 내용이 하나의 레코드(튜플)가 됩니다.
즉 <고객> 테이블에는 현재 4개의 레코드가 있는 것이죠.
3)
함수적 종속이 이뤄지고 있으면 부분 함수적 종속, 함수적 종속이 이뤄지고 있지 않으면 완전 함수적 종속입니다.
397p 상단 잠깐만요와 사이드 내용을 통해 두 개념의 차이를 다시한번 확인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