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첫번째로 수열부분부터 응용알고리즘 배열부분까지 첫번째로 한번씩 일일이 디버깅하면서
돌렸을때는 "아.. 그냥 흐름이 그렇게가는구나~" 하면서 흐름만 느껴졌는데
책을 세번째로 반복했을때 부터는 네모안에 뭐가 지워질지 예측하고, 답항보기 40개에서 어느걸 가져와야 하
는지 대략 눈에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ㄷㄷ;;; (정말 신기합니다 ㄷㄷ)
이것이 그 말로만 듣던 "아~~~"
느낌인가요??
데이터베이스 쪽은 기본키,외래키,슈퍼킼,후보키,복합키.. 등등 키관련문제가 상당히 많이 나왔던데;
DB는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
데이터베이스는 초반에 키관련문제와 SQL부분이 많이 나오는 듯하던데..
데이터베이스쪽 마지막 실무 응응편 쪽은 거의 시험에 나오지 않는 듯 했습니다.
시험에 나온횟수를 보면 키관련문제가 가장많이 나온거로 책에 그리 쓰여 있네요.
기사는 데이터베이스에서도 심화내용이 많이 나오는듯 해보였습니다.
저는 산업기사니까... 'ㅅ'... (심화내용 안나올꺼라 믿어요.. )
DB 공부할때의 팁을 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드디어 그분이 오셨군요 .. ^^* .. 예 맞습니다. 낯선 알고리즘이 반복학습으로 인해 익숙해지면서 내용들이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말 그대로 알고리즘 패턴이 확인되는 것이죠.
최근들어 데이터베이스 1~2문항, 업무 프로세스 1~2 문항이 전공분야의 세부적인 내용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이 문제들을 맞추기 위해 비 전공자가 투자할 시간이나 분량이 너무 방대하므로 이 문제들을 제외한 나머지 교재에 충실한 문제들을 맞춰 합격하는 전략으로 학습하셔야 합니다.
-
*2011-07-08 09:18:15
안녕하세요.
드디어 그분이 오셨군요 .. ^^* .. 예 맞습니다. 낯선 알고리즘이 반복학습으로 인해 익숙해지면서 내용들이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말 그대로 알고리즘 패턴이 확인되는 것이죠.
최근들어 데이터베이스 1~2문항, 업무 프로세스 1~2 문항이 전공분야의 세부적인 내용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이 문제들을 맞추기 위해 비 전공자가 투자할 시간이나 분량이 너무 방대하므로 이 문제들을 제외한 나머지 교재에 충실한 문제들을 맞춰 합격하는 전략으로 학습하셔야 합니다.
알고리즘 30점, 데이터베이스 18점, 업무 프로세스 12점, 전산&신기술용어 8~10점을 목표로 학습하세요.너무 조급해 하지 말고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정확히 이해를 하는 학습 습관을 들이세요. 나중을 봐서는 그것이 확실한 합격 전략이니까요.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