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열, 수학, 배열 부분까진
알고리즘 일일이 해서 결과값 확인하는게 잘 되었습니다.
근데 자료구조 부분 (정렬) 부터는 디버깅해야 하는 양이 너무 많습니다;;;
정렬부분에서 임시변수 사용하는 부분 빼고는...
A = B
B= C <ㅡㅡ (여기서 괄호 치고 나오는 경우가 굉장히 많던데;;)
C= A
디버깅해야하는 양이 너무 많습니다 ㄷㄷ ;;; (임시변수에서 괄호 나오면 무조건 맞겟죠..)
자료구조부분에서 디버깅해서 결과값 확인 하는게 너무 힘듭니다.
자료구조부분에서 공부하는 팁 같은것 혹시 있나요? 있다면 가르쳐주세요.
안녕하세요.
디버깅은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데, 주어진 문제의 과정을 전부 수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통 1에서 100까지 더하는 과정이라면 1에서 5나 10까지만 수행해도 반복적인 패턴이 확인되는데, 이러한 과정만 확인되면 더 진행할 필요가 없이 괄호를 채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의 과정이 길어 시간이 충분히 필요한 경우라도 반드시 수행해야 합니다.
시험 시간은 2시간이므로 나머지 과목을 풀고도 1시간 이상은 충분히 주워지니까요.
알고리즘을 해결하려면 디버깅을 이용해 하나씩 차근히 과정을 따라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문제가 매번 동일하게 나오는 것이 아니라 감이나 암기해서 풀 수 있는 것은 없으며, 또한 이런 풀이방식은 너무 위험한 것이죠.
시험의 합격을 위해서는 내용을 확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7-06 09:13:48
안녕하세요.
디버깅은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데, 주어진 문제의 과정을 전부 수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통 1에서 100까지 더하는 과정이라면 1에서 5나 10까지만 수행해도 반복적인 패턴이 확인되는데, 이러한 과정만 확인되면 더 진행할 필요가 없이 괄호를 채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의 과정이 길어 시간이 충분히 필요한 경우라도 반드시 수행해야 합니다.
시험 시간은 2시간이므로 나머지 과목을 풀고도 1시간 이상은 충분히 주워지니까요.
알고리즘을 해결하려면 디버깅을 이용해 하나씩 차근히 과정을 따라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문제가 매번 동일하게 나오는 것이 아니라 감이나 암기해서 풀 수 있는 것은 없으며, 또한 이런 풀이방식은 너무 위험한 것이죠.
시험의 합격을 위해서는 내용을 확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