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2011/12년 산업기사 기출문제 질문
도서
[2014]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페이지
조회수
254
작성일
2014-04-05
작성자
첨부파일

1. 1과목 4번질문에 transaction은 뭔가요?

2. Uncommitted Dependency가 뭔가요??

3. 정보 코드의 에러 교정 방식에서 우수 패리티(Even Parity)를 사용하여 BCD수 1001에 대한 단일 에러 교정코드를 결정한 것 중 알맞은 것은?

에 답이 왜 0011001인가요?

4. cics(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형 프로세서가 뭔가요??

5. 어느 인스트럭션의 수행속도를 반으로 줄였다.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인스트럭션들의 20%가 이 인스트럭션이라면 프로그램 전체의 수행속도는 얼마만큼 향상되는가??

이거 어떻게 계산하나요??

6. 마이크로 연산이 어떤건가요? 논리마이크로연산 물리마이크로연산이 따로있나요??

7. 기억장치 접근 속도가 0.5us이고 데이터 워드가 32비트일 때 대역폭은?

이거 어떻게 계산하나요??

8. 2011년 2회차 38번 질문에 1의 보수에 의해 표현된 수를 좌측으로 1Bit 산술 shift하는 경우 입력되는 비트는?

의 답이 왜 sign bit인거죠??

9. linked list 가 뭔가요??

10. 3회차 27번 rs플립플롭에 답이 가. 입력 S가 1일 때, Q, Q`는 모두 0이 된다.

가 답이던데 특성표에는 S가 1이고 R이 0일때 1이던데 왜맞는건가요??

다. 입력 RS가 모두 1이 되어서는 안 된다. 는 왜 맞는 문장인가요??

라. 출력 Q`는 항상 Q의 반대로 된다. 이거는 T 플립플롭설명아닌가요? 왜 맞는거죠??

11. 2012년 3월 6번 문제에 sql문에서 disticnt의 의므는? 이라는 문제에 답이 가. 검색결과에서 레코드의

중복을 제거하라 라고 나와있던데

책에는 distinct가 중복된 튜플이 있으면 그중 첫번째 한개만 검색하라 인데 왜 검색결과에서 레코드의중

복을 제거하라가 정답인거죠?

12. 2012년 3월 16번 문제에 동일 조인의 결과 릴레이션에서 중복되는 조인 에트리뷰트를 제거한 연산이

difference join 차집합 연산이라는데 차집합은 집합 a(1,2,3) b(1,2,4)일때 a-b면 (3)이잖아요.. 근데

이게 왜 중복을 제거했다는거죠?

13.CAM(Content Addressable Memory)가 먼가요?

14. 2012년 3회차 76번 문제 "3페이지가 들어갈 수 있는 기억장치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페이지가 참조될 때 LRU기법을 사용하면 최종적으로 기억공간에 남는페이지는?(단 기억장치는 비어있다.)

참조열 : 1 , 2 , 3 , 4 , 1, 3, 1, 2

에 답이 가 2,1,3 이던데 그러면 이게 처음에 1,2,3 이 들어오고 1이 나가고 4가 들어와서 2,3,4가 되고

다시 1이 들어오고 2가 나가서 3,4,1이 되고 다시 3이들어오고 3이 나가서 4,1,3이 되고 1이들어오고 4가

나가서 1,3,1이 되고 마지막으로 2가들어오고 1이 나가서 3,1,2가 되서 2,1,3이 답인가요?

아니면 다른식으로 계산하는건가요??

답변
2014-04-08 10:32:45

안녕하세요.

전체적으로 교재의 내용이 아니라 다운받은 기출문제에 대한 질문인 것 같은데, 이중 정확한 년도와 회차, 문제 번호가 없는 것은 일반적인 내용을 판단하고 답변하였습니다. 또한 게중에 시험 범위와 맞지 않거나 처음 출제된 내용들은 풀이 과정을 생략하였습니다. 다음에도 동일하게 출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세한 내용이 교재에 있는 경우 해당 교재 섹션을 참고할 수 있도록 참고 섹션을 기록하였으니 참고하세요.

1.

트랜잭션은 컴퓨터가 처리해야 할 단위 작업을 말합니다. 트랜잭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Section 024를 참고하세요.

2.

Uncommitted Dependency

말 그대로 해석하면 "미완료된 종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한 트랜잭션이 다른 트랜잭션이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할 때 일어나는 문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 트랜잭션이 특정 레코드를 사용할 때는 다른 트랜잭션이 사용하지 못하다록 잠금(Lock)을 설정하면 됩니다.

3.

우수(Even)는 짝수를 의미하고, 에러 교정 코드는 해밍 코드를 의미합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데이터 비트에 해밍 비트를 부여합니다.

① 총 정보 비트 수가 4개이므로 패리티 비트가 들어갈 자리인 1, 2, 4자리를 비운 나머지 자리에 정보 비트를 기입합니다.

1

2

3

4

5

6

7

H

H

1

H

0

0

1

② 1번 비트를 결정하기 위해서 3, 5, 7번 비트를 이용하여 1의 비트 수가 짝수 개가 되도록 합니다.

0

H

1

H

0

0

1

3, 5, 7번 비트의 1의 개수는 짝수이므로 1번 비트를 0으로 하여 1, 3, 5, 7번 비트의 1의 개수를 짝수로 맞춥니다.

③ 2번 비트를 결정하기 위해서 3, 6, 7번 비트를 이용하여 1의 비트 수가 짝수 개가 되도록 합니다.

0

0

1

H

0

0

1

3, 6, 7번 비트의 1의 개수는 짝수이므로 2번 비트를 0으로 하여 2, 3, 6, 7번 비트의 1의 개수를 짝수로 맞춥니다.

④ 4번 비트를 결정하기 위해서 5, 6, 7번 비트를 이용하여 1의 비트 수가 짝수 개가 되도록 합니다.

0

0

1

H

0

0

1

5, 6, 7 번의 1의 개수는 홀수 이므로 4번 비트를 1로 하여 4, 5, 6, 7번 비트의 1의 개수를 짝수로 맞춥니다.

4.

CISC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한 종류로 CISC 방식은 명령어의 종류가 많아 전력 소비가 많고 명령어 설계가 어려워 고가이지만 레지스터를 적게 사용하므로 프로그램이 간단합니다.

5.

처음 출제된 문제로 다시 출제되도 동일하게 출제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입니다. 한 번 출제된 문제입니다. 문제외 정답만 기억하고 넘어가세요.

6.

마이크로 연산이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의미합니다.

관련 내용은 교재 Section 055 ~ 057까지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세요.

7.

대역폭은 메모리로부터 또는 메모리까지 1초 동안 전송되는 최대한의 정보량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하면 됩니다.

ㆍ접근 속도가 0.5μs라는 것은 초에 한 번 접근하는 것이므로 1초에는 10000000÷5번 접근한다는 의미입니다.

ㆍ1초에 32비트짜리 워드를 2,000,000번 접근하므로 대역폭은 32 × 2,000,000 = 64,000,000 = 64Mbit/sec입니다.

※ μ = 10-6, M = 106

8.

1의 보수에서 좌측 Shift 하는 경우 패딩비트는 음수의 경우 1, 양수의 경우 0입니다. 이는 부호(Sign)와 동일하죠. 부호도 음수는 1, 양수는 0이니까요.

Section 052 산술 Shift 참조

9.

Linked List는 연결 리스트를 의미합니다. 연결 리스트의 개념, 특징 등은 Section 025를 참고하세요.

10.

RS 플립플롭의 특성표를 보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S가 1일 때는 R이 0 또는 1의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즉 S=1, R=0인 경우에는 Q는 0, Q'은 1이 되고, S=1, R=1인 경우에는 금지 상태로서 동작이 안 됩니다.

S

R

Q(T+1)

0

0

Q(T)

0

1

0

1

0

1

1

1

동작 안 됨

11.

중복된 값이 다음과 같이 3개가 있습니다.

A, A, A

나머지 A 2개를 제거해야 A 하나만 남게 되죠.

즉 나머지 A 2개가 중복된 것이니 중복된 것을 제거하면 첫 번째 한 개만 검색되는 것이죠.

12.

a(1,2,3) 과 b(1,2,4)에서 a-b는 3입니다.

즉 a 안에서 공통인 1, 2를 제외한 값 3

a 안에서 중복되는 값(1,2)을 제거하는 연산

13.

CAM은 연관기억장치를 의미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Section 066을 참고하세요.

14.

여기서 중요한 것은 LRU입니다. LRU 기법은 최근에 가종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입니다.

초기에는 모든 페이지가 비어 있으므로 처음 1, 2, 3 페이지 적재 시 페이지 결합이 발생합니다. 그런다음 LRU 기법에 의해 참조 페이지 4를 참조할 땐느 최근에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았던 1을 제거한 후 4를 가져옵니다. 이런 방법으로 요청된 페이지를 모두 처리하면 총 페이지 결함 발생 수는 6회이고, 최종적으로 남는 페이지는 2, 1, 3입니다.

관련 내용은 Section 086 LRU를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4-04-08 10:32:45

    안녕하세요.

    전체적으로 교재의 내용이 아니라 다운받은 기출문제에 대한 질문인 것 같은데, 이중 정확한 년도와 회차, 문제 번호가 없는 것은 일반적인 내용을 판단하고 답변하였습니다. 또한 게중에 시험 범위와 맞지 않거나 처음 출제된 내용들은 풀이 과정을 생략하였습니다. 다음에도 동일하게 출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세한 내용이 교재에 있는 경우 해당 교재 섹션을 참고할 수 있도록 참고 섹션을 기록하였으니 참고하세요.

    1.

    트랜잭션은 컴퓨터가 처리해야 할 단위 작업을 말합니다. 트랜잭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Section 024를 참고하세요.

    2.

    Uncommitted Dependency

    말 그대로 해석하면 "미완료된 종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한 트랜잭션이 다른 트랜잭션이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할 때 일어나는 문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 트랜잭션이 특정 레코드를 사용할 때는 다른 트랜잭션이 사용하지 못하다록 잠금(Lock)을 설정하면 됩니다.

    3.

    우수(Even)는 짝수를 의미하고, 에러 교정 코드는 해밍 코드를 의미합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데이터 비트에 해밍 비트를 부여합니다.

    ① 총 정보 비트 수가 4개이므로 패리티 비트가 들어갈 자리인 1, 2, 4자리를 비운 나머지 자리에 정보 비트를 기입합니다.

    1

    2

    3

    4

    5

    6

    7

    H

    H

    1

    H

    0

    0

    1

    ② 1번 비트를 결정하기 위해서 3, 5, 7번 비트를 이용하여 1의 비트 수가 짝수 개가 되도록 합니다.

    0

    H

    1

    H

    0

    0

    1

    3, 5, 7번 비트의 1의 개수는 짝수이므로 1번 비트를 0으로 하여 1, 3, 5, 7번 비트의 1의 개수를 짝수로 맞춥니다.

    ③ 2번 비트를 결정하기 위해서 3, 6, 7번 비트를 이용하여 1의 비트 수가 짝수 개가 되도록 합니다.

    0

    0

    1

    H

    0

    0

    1

    3, 6, 7번 비트의 1의 개수는 짝수이므로 2번 비트를 0으로 하여 2, 3, 6, 7번 비트의 1의 개수를 짝수로 맞춥니다.

    ④ 4번 비트를 결정하기 위해서 5, 6, 7번 비트를 이용하여 1의 비트 수가 짝수 개가 되도록 합니다.

    0

    0

    1

    H

    0

    0

    1

    5, 6, 7 번의 1의 개수는 홀수 이므로 4번 비트를 1로 하여 4, 5, 6, 7번 비트의 1의 개수를 짝수로 맞춥니다.

    4.

    CISC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한 종류로 CISC 방식은 명령어의 종류가 많아 전력 소비가 많고 명령어 설계가 어려워 고가이지만 레지스터를 적게 사용하므로 프로그램이 간단합니다.

    5.

    처음 출제된 문제로 다시 출제되도 동일하게 출제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입니다. 한 번 출제된 문제입니다. 문제외 정답만 기억하고 넘어가세요.

    6.

    마이크로 연산이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의미합니다.

    관련 내용은 교재 Section 055 ~ 057까지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세요.

    7.

    대역폭은 메모리로부터 또는 메모리까지 1초 동안 전송되는 최대한의 정보량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하면 됩니다.

    ㆍ접근 속도가 0.5μs라는 것은 초에 한 번 접근하는 것이므로 1초에는 10000000÷5번 접근한다는 의미입니다.

    ㆍ1초에 32비트짜리 워드를 2,000,000번 접근하므로 대역폭은 32 × 2,000,000 = 64,000,000 = 64Mbit/sec입니다.

    ※ μ = 10-6, M = 106

    8.

    1의 보수에서 좌측 Shift 하는 경우 패딩비트는 음수의 경우 1, 양수의 경우 0입니다. 이는 부호(Sign)와 동일하죠. 부호도 음수는 1, 양수는 0이니까요.

    Section 052 산술 Shift 참조

    9.

    Linked List는 연결 리스트를 의미합니다. 연결 리스트의 개념, 특징 등은 Section 025를 참고하세요.

    10.

    RS 플립플롭의 특성표를 보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S가 1일 때는 R이 0 또는 1의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즉 S=1, R=0인 경우에는 Q는 0, Q'은 1이 되고, S=1, R=1인 경우에는 금지 상태로서 동작이 안 됩니다.

    S

    R

    Q(T+1)

    0

    0

    Q(T)

    0

    1

    0

    1

    0

    1

    1

    1

    동작 안 됨

    11.

    중복된 값이 다음과 같이 3개가 있습니다.

    A, A, A

    나머지 A 2개를 제거해야 A 하나만 남게 되죠.

    즉 나머지 A 2개가 중복된 것이니 중복된 것을 제거하면 첫 번째 한 개만 검색되는 것이죠.

    12.

    a(1,2,3) 과 b(1,2,4)에서 a-b는 3입니다.

    즉 a 안에서 공통인 1, 2를 제외한 값 3

    a 안에서 중복되는 값(1,2)을 제거하는 연산

    13.

    CAM은 연관기억장치를 의미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Section 066을 참고하세요.

    14.

    여기서 중요한 것은 LRU입니다. LRU 기법은 최근에 가종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입니다.

    초기에는 모든 페이지가 비어 있으므로 처음 1, 2, 3 페이지 적재 시 페이지 결합이 발생합니다. 그런다음 LRU 기법에 의해 참조 페이지 4를 참조할 땐느 최근에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았던 1을 제거한 후 4를 가져옵니다. 이런 방법으로 요청된 페이지를 모두 처리하면 총 페이지 결함 발생 수는 6회이고, 최종적으로 남는 페이지는 2, 1, 3입니다.

    관련 내용은 Section 086 LRU를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