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과목 155페이지 7번 문제에 보면 기억용량은 워드수 x 워드 크기 이라고 설명이 되어있잖아요. 그럼 9번
문제에 4096용량을 16으로 나눠야 하는거아닌가요?
왜 4096 x 16을 하는거죠? 4096이 총 용량 이잖아요..
2. 155페이지 10번 문제에 1024kb x 24bit 문제에 설명에 1024k 가 2 10승 x 2 10승 이어서 20이라고
되어있는데 1024kb 면 8388608인데 왜 2의 20승으로 변환이 되는거죠?? 1024 k 가 2의 20승이 되려면
바이트로 변환해야 되는데 문제는 몇 비트냐고 물어봤잖아요
3. sec64 쪽에 계산문제(7~11번)를 보면 어떤문제는 단위가 비트고 어떤문제는 바이트인데 비트, 바이트 구분
기준이 뭔가요??
4. 메모리 인터러빙의 개념이 잘 이해가안되는데 간단하게 개념 요약좀 해주세요
5. sec 68에 나오는 페이지와 프레임은 뭘 뜻하는건가요?
6. 2-170 6번문제에 보기 2,4번은 dram과 sram을 말하는건가요?
7. 11번 문제에 코어는 한개워 워드를 구성하는 비트수만큼 core plain을 겹쳐 쌓는다. 즉 16장이므로 16비트가
1워드다 라고 써있고 32x32= 1024비트라서 1이 답이라고 되있는데 그럼 자기 코어의 기억용량을 구할때 몇비
비트가 1워드인지는 상관없는건가요?
8. 2-173쪽에 50번 문제에 나온 초관련단위들좀 다 알려주세요 (ns us 이런거요)
9, 2-174쪽에 58번 문제에 나온 세그먼트는 뭘뜻하는건가요??
10 . 2-120번 21번문제 관련해서 A load -> B면
A가 B의 정보를 꺼내와서 자기한테 저장한다는건가요?
B가 A의 정보를 꺼내와서 자기한테 저장한다는건가요??
이거 28일 질문엔 답을 알려주셧는데 제가 궁금한건 a load -> b가
A가 B의 정보를 꺼내와서 자기한테 저장한다는건가요?
B가 A의 정보를 꺼내와서 자기한테 저장한다는건가요??
입니다.
안녕하세요.
1)
9번 문제에 총 용량이 4096워드 라고 주어졌습니다. 그리고 워드 길이가 16Bit로 주어졌구요.
즉 워드의 수가 4096이고, 워드의 크기가 16Bit라는 의미이므로
7번 문제 해설 처럼 기억 용량 = 워드 수 * 워드 크기 = 4096 * 16이 되는 것이죠.
1024는 2의 10승입니다.
2의 10승은 모두 K 단위로 표현합니다.
그래서 1024KB는 1024*1024Byte가 되고 다른 표현을 2의 10승 * 2의 10승Byte이므로 2의 20승Byte가 되는 것이죠.
3)
보기로 제시된 단위에 맞춰 계산하면 됩니다.
2Byte로 제시가 되었는데, 비트 단위로 맞춰야 하면 8을 곱해 16Bit로 변환하면 되고
16bit로 제시가 되었는데, 바이트 단위로 맞춰야 하면 8을 나눠 2Byte로 변환하면 됩니다.
속도가 빠른 CPU가 각 모듈로 전송할 주소를 교대로 배치한 후 여러 모듈에 병행 접근하는 방식을 메모리 인터리빙이라고 합니다.
시분할 처리와 같이 여러 사용자가 시간을 나눠서 사용하지만 시간 사이의 간격이 너무 짧아 사용자 각각은 자신만이 계속 CPU를 독접하는 듯한 착각을 하죠.
메모리 인터리빙도 비슷한 개념으로 각 모듈은 자신들이 CPU를 독접하듯이 생각하지만 실질적으로는 CPU가 여러 모듈을 동시에 관리하는 것이죠.
이는 모두 CPU의 속도가 각 모듈들의 처리 속도보다 월등히 빠르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페이지 프레임은 물리적은 실제 메모리를 일정한 크기로 나눈 블록(단위)이고
페이지는 가상 메모리를 일정한 크기로 나눈 블록(단위)입니다.
보기 중 Dynamic Memory는 DRAM을, Static Memory는 SRAM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문제에서 몇 워드라고 했는데, 보기에 단위가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보기들의 단위가 모두 문제에 제시된 워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혹 다른 단위가 나왔다면 1워드는 몇 비트라는 조건도 나오겠죠.

세그먼트란 2-166쪽 하단에 제시된 가상기억장치의 관리 기법 단위 중 하나로
사용자가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을 가변적은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서 관리할 때 사용되는 가변적인 크기의 한 블록을 의미합니다.
a와 b는 모두 기억장소입니다.
그러니 꺼내와서 저장을 하는 것이죠. 3번과 같은 형태로 표현하고
|
|
|
[b]
-
*2014-04-01 10:02:01
안녕하세요.
1)
9번 문제에 총 용량이 4096워드 라고 주어졌습니다. 그리고 워드 길이가 16Bit로 주어졌구요.
즉 워드의 수가 4096이고, 워드의 크기가 16Bit라는 의미이므로
7번 문제 해설 처럼 기억 용량 = 워드 수 * 워드 크기 = 4096 * 16이 되는 것이죠.2)
1024는 2의 10승입니다.
2의 10승은 모두 K 단위로 표현합니다.
그래서 1024KB는 1024*1024Byte가 되고 다른 표현을 2의 10승 * 2의 10승Byte이므로 2의 20승Byte가 되는 것이죠.
3)
보기로 제시된 단위에 맞춰 계산하면 됩니다.
2Byte로 제시가 되었는데, 비트 단위로 맞춰야 하면 8을 곱해 16Bit로 변환하면 되고
16bit로 제시가 되었는데, 바이트 단위로 맞춰야 하면 8을 나눠 2Byte로 변환하면 됩니다.4)
속도가 빠른 CPU가 각 모듈로 전송할 주소를 교대로 배치한 후 여러 모듈에 병행 접근하는 방식을 메모리 인터리빙이라고 합니다.
시분할 처리와 같이 여러 사용자가 시간을 나눠서 사용하지만 시간 사이의 간격이 너무 짧아 사용자 각각은 자신만이 계속 CPU를 독접하는 듯한 착각을 하죠.
메모리 인터리빙도 비슷한 개념으로 각 모듈은 자신들이 CPU를 독접하듯이 생각하지만 실질적으로는 CPU가 여러 모듈을 동시에 관리하는 것이죠.
이는 모두 CPU의 속도가 각 모듈들의 처리 속도보다 월등히 빠르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5)
페이지 프레임은 물리적은 실제 메모리를 일정한 크기로 나눈 블록(단위)이고
페이지는 가상 메모리를 일정한 크기로 나눈 블록(단위)입니다.6)
보기 중 Dynamic Memory는 DRAM을, Static Memory는 SRAM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7)
문제에서 몇 워드라고 했는데, 보기에 단위가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보기들의 단위가 모두 문제에 제시된 워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혹 다른 단위가 나왔다면 1워드는 몇 비트라는 조건도 나오겠죠.8)처리 속도 단위9)
세그먼트란 2-166쪽 하단에 제시된 가상기억장치의 관리 기법 단위 중 하나로
사용자가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을 가변적은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서 관리할 때 사용되는 가변적인 크기의 한 블록을 의미합니다.10)
a와 b는 모두 기억장소입니다.
그러니 꺼내와서 저장을 하는 것이죠. 3번과 같은 형태로 표현하고[a] <---- P Load
|
|
|
[b]b의 내용을 꺼내와 a에 기억(로드)한다는 의미입니다.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