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120번 21번문제 관련해서 A load -> B면
A가 B의 정보를 꺼내와서 자기한테 저장한다는건가요?
B가 A의 정보를 꺼내와서 자기한테 저장한다는건가요??
2. 보통 -> 의 의미로 많이 쓰이는것은 전송인가요?
EX) A -> B 면 A내용을 B로 전송시킨다는건가요?
3. 예상문제은행 29번 문제에 해설에 보기중 하나를 골라야하니 동기식이라고 했는데 NS라는 단위가 고정동기식
을 말하는건가요? 그럼 동기가변식이나 비동기식 단위는 뭐죠?
4.37번 문제에 B <- B+1 이 왜 B` 에 1을 더했으므로 B는 B`+1이 된다. 로 해석이 되나요??
5.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여러개 모인것이 명령어 이고 명령어가 여러개 모인것이 마이크로 프로그램인가요??
6. 마이크로 연산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과 같은 의미인가요??
7. 마이크로라는 말은 뭘 의미하는건가요??
8. 번지란 데이터의 주소를 의미하는건가요??
9.기억장치의 종류중에는 어떠한것들이 있나요?
10. MBR의 역할중에 기억장치를 출입하는 데이터의 주소를 저장하는거 외에 다른역할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1)
사각형 모양이 레지스터를 의미합니다.
P 신호에 의해 B의 내용을 꺼네와서 A에 저장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은 3번입니다.
2)
->은 저장, 전송 등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3)
어떤 방식이든 적용 단위는 문제에 주어진 것을 사용하므로 동일합니다.
각각의 특징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뿐이죠.
4)
첫번째 T1는 B가 B'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T2에서는 B대신 B'를 사용하여 B'+1이 된 것이죠. 그래서 B <- B'+1이 되니 다음 T3에서 B는 B'+1로 사용됩니다.
그래서 T3에서는 B <- A+B'+1로 표현된 것이죠.
5~6)
마이크로 연산(오퍼레이션)이란 하나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하나 하나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마이크로 연산(오퍼레이션)이 여러 개 모여 하나의 명령이 되는 것이죠.
이러한 명령이 여러 개 모여 저장되어 있는 것을 마이크로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7) 마이크로란 일반적으로 100만분의 1을 의미합니다. 그만큼 작다는 의미로도 사용되죠. 마이크로 프로그램이란 작은 수많은 명령들이 모여 구성된 형태의 프로그램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것이죠.
8)
번지란 주소를 의미합니다.
9)
기억장치의 종류는
ROM, RAM, 자기드럼, 캐시, 연관기억장치, 모듈기억장치, 가상기억장치 등이 있습니다.
10)
MBR의 용도는 기억장치를 출입하는 데이터의 임시 기억공간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4-03-31 09:59:16
안녕하세요.
1)
사각형 모양이 레지스터를 의미합니다.
P 신호에 의해 B의 내용을 꺼네와서 A에 저장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은 3번입니다.
2)
->은 저장, 전송 등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3)
어떤 방식이든 적용 단위는 문제에 주어진 것을 사용하므로 동일합니다.
각각의 특징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뿐이죠.
4)
첫번째 T1는 B가 B'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T2에서는 B대신 B'를 사용하여 B'+1이 된 것이죠. 그래서 B <- B'+1이 되니 다음 T3에서 B는 B'+1로 사용됩니다.
그래서 T3에서는 B <- A+B'+1로 표현된 것이죠.
5~6)
마이크로 연산(오퍼레이션)이란 하나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하나 하나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마이크로 연산(오퍼레이션)이 여러 개 모여 하나의 명령이 되는 것이죠.
이러한 명령이 여러 개 모여 저장되어 있는 것을 마이크로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7) 마이크로란 일반적으로 100만분의 1을 의미합니다. 그만큼 작다는 의미로도 사용되죠. 마이크로 프로그램이란 작은 수많은 명령들이 모여 구성된 형태의 프로그램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것이죠.
8)
번지란 주소를 의미합니다.
9)
기억장치의 종류는
ROM, RAM, 자기드럼, 캐시, 연관기억장치, 모듈기억장치, 가상기억장치 등이 있습니다.
10)
MBR의 용도는 기억장치를 출입하는 데이터의 임시 기억공간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