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정보처리 2과목 관련질문
도서
[2014]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페이지
조회수
90
작성일
2014-03-26
작성자
첨부파일

1. 5번문제 풀이과정에 처음에 y에 a`b`c`+ab`c 인데

왜 그 밑에 a`b`(c`+c) 인건가요?
1)
A'B'C' + AB'C + A'B'C + A'B'C'
여기서 각각 공통 인수로 묶으면
A'B'로 묶으면,
첫 번째에서는 C'만 남고,
세 번째에서는 C만 남습니다.
결국 A'B'(C'+C)가 되죠
같은 방법으로 이번에는 AB'로 묶으면
두 번째는 C만
네 번째는 C'만 남습니다.
그래서 AB'(C+C')가 되죠
이 질문에 이렇게 대답해주셨는데 제가 궁금한건 a`랑 a랑 다른건데 어떻게 a`로 묶을수 있다는거죠?
2. 2-89쪽 11번문제 설명에 오퍼랜드가 1개있다고 되있는데 오퍼랜드 숫자는 어디를 보고 알 수 있는건가요??
3. section 53쪽에 문제들보면 주소명령방식에 load가 써있던데 이게 1주소방식에서만 사용되는 문구인가요?
아니면 모든 주소에서 자료 가져올때 load를 사용하나요??
4. 2-89 16번 문제에 1,2,3 넣고 add하니까 5랑 1이 남는걸로 되있던데 원래 add는 가장위에 2숫자만
더하는건가요??
5. 분기명령이란게 무엇인가요??
6.루틴이 뭔가요??
7.address locating unit 이 뭔가요??
8.2-68 쪽에 47번 A <- A-B 가 뭘 의미하는거죠?
9. 유효자리 라는게 뭔가요?
10. Complement 가뭐죠?
11.캐리가 발생했다는건 자리올림이 생겻다는건가요?
12. 2-66쪽 27번 문제에 2의 보수 뺄셈에서 오버플로가 발생했다는건 정확히 어떤의미인가요?
13.2-93쪽 7번문제 직접주소방식 ac값이 왜 39고 간접주소지정방식 ac값이 127이라는건지 전혀 이해가
안되네요 설명좀 자세하게 해주세요
답변
2014-03-28 10:06:18

안녕하세요.

1)

해설 내용을 다시한번 살펴보니 문제와 다르게

A'B'C' + AB'C + A'B'C + AB'C' 이 아닌

A'B'C' + AB'C + A'B'C + A'B'C' 으로 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문제의 내용을 수정하여 정오표에 등록하도록 하겠습니다.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2)

Load A의 경우 Load는 명령코드, A는 오퍼랜드가 됩니다. 오퍼랜드가 1개인 것이죠.

명령어는 Op-Code와 Operand로 구성되어 있죠.

3)

Load는 실질적인 처리를 위해 적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계산하는 곳(누산기)에 옮기는데, 이를 로드한다고 하죠.

반대로 처리된 결과나 처리될 자료들이 기억장치에 저장되는 것은 Save(저장)이라고 합니다.

4)

스택의 구조 때문에 위에서 부터 처리하는 것이죠. 스택은 위쪽에서 자료를 꺼내서 처리하는 것인데,

ADD 명령이 2개의 자료를 가지고 더하는 것이므로 위쪽의 2개 2와 3을 더한 것입니다.

5)

순서대로 처리가 되다 지정된 위치로 처리를 이동시키는 것을 분기라고 합니다.

6)

루틴이란 특정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모아놓은 명령어 집합으로 예를 들어 인터럽트 처리를 위해 모아둔 집합을 인터럽트 루틴 이라고 하죠. 혹은 현재 작업을 부수적으로 돕기 위한 집합을 서브 루틴이라고도 하구요.

7)

흔히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지만 굳이 그대로 해석하자면, Address Locating Unit .. 저장위치를 지정하는 단위 혹은 장치, 레지스터 등을 의미할 수 있겠네요.

8)

A <- A-B는 'A-B'의 결과를 다시 A에 저장한다는 의미입니다.

9)

유효자리란 해당 시스템에서 실질적으로 처리가능한 자리로 유효자리가 4자리라 함은 해당 시스템에 4자리로 무언가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죠.

10)

Complement란 보수를 의미합니다.

11)

캐리는 자리올림이 맞습니다. 그러니 캐리가 발생했다는 것은 자리 올림이 발생했다는 것이죠.

12)

오버플로라는 표현 가능한 자리수를 넘어셨다는 것입니다. 즉 유효자리가 4자리인데, 계산 결과가 5자리가 나오면 오버플로가 발생한 것입니다.

반대로 표현 가능한 자리가 이하의 결과가 산출되면 언더플로가 발생했다고도 합니다.

13)

직접 주소란 주어진 주소에 있는 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죠.

간접 주소란 주어진 주소에 있는 값이 또다른 위치의 주소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직접 주소 34는 34번지에 있는 값을 처리하고

간접 주소 34는 34번지에 있는 값(127)이 또다른 주소이므로 127번지에 있는 값을 처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4-03-28 10:06:18

    안녕하세요.

    1)

    해설 내용을 다시한번 살펴보니 문제와 다르게

    A'B'C' + AB'C + A'B'C + AB'C' 이 아닌

    A'B'C' + AB'C + A'B'C + A'B'C' 으로 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문제의 내용을 수정하여 정오표에 등록하도록 하겠습니다.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2)

    Load A의 경우 Load는 명령코드, A는 오퍼랜드가 됩니다. 오퍼랜드가 1개인 것이죠.

    명령어는 Op-Code와 Operand로 구성되어 있죠.

    3)

    Load는 실질적인 처리를 위해 적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계산하는 곳(누산기)에 옮기는데, 이를 로드한다고 하죠.

    반대로 처리된 결과나 처리될 자료들이 기억장치에 저장되는 것은 Save(저장)이라고 합니다.

    4)

    스택의 구조 때문에 위에서 부터 처리하는 것이죠. 스택은 위쪽에서 자료를 꺼내서 처리하는 것인데,

    ADD 명령이 2개의 자료를 가지고 더하는 것이므로 위쪽의 2개 2와 3을 더한 것입니다.

    5)

    순서대로 처리가 되다 지정된 위치로 처리를 이동시키는 것을 분기라고 합니다.

    6)

    루틴이란 특정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모아놓은 명령어 집합으로 예를 들어 인터럽트 처리를 위해 모아둔 집합을 인터럽트 루틴 이라고 하죠. 혹은 현재 작업을 부수적으로 돕기 위한 집합을 서브 루틴이라고도 하구요.

    7)

    흔히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지만 굳이 그대로 해석하자면, Address Locating Unit .. 저장위치를 지정하는 단위 혹은 장치, 레지스터 등을 의미할 수 있겠네요.

    8)

    A <- A-B는 'A-B'의 결과를 다시 A에 저장한다는 의미입니다.

    9)

    유효자리란 해당 시스템에서 실질적으로 처리가능한 자리로 유효자리가 4자리라 함은 해당 시스템에 4자리로 무언가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죠.

    10)

    Complement란 보수를 의미합니다.

    11)

    캐리는 자리올림이 맞습니다. 그러니 캐리가 발생했다는 것은 자리 올림이 발생했다는 것이죠.

    12)

    오버플로라는 표현 가능한 자리수를 넘어셨다는 것입니다. 즉 유효자리가 4자리인데, 계산 결과가 5자리가 나오면 오버플로가 발생한 것입니다.

    반대로 표현 가능한 자리가 이하의 결과가 산출되면 언더플로가 발생했다고도 합니다.

    13)

    직접 주소란 주어진 주소에 있는 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죠.

    간접 주소란 주어진 주소에 있는 값이 또다른 위치의 주소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직접 주소 34는 34번지에 있는 값을 처리하고

    간접 주소 34는 34번지에 있는 값(127)이 또다른 주소이므로 127번지에 있는 값을 처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