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전자계산기 구조 관련 질문
도서
[2014]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페이지
조회수
81
작성일
2014-03-25
작성자
첨부파일

1. 전 가산기와 반가산기에 C와 Ci 차이가 반가산기는 1자리 올림이고 전가산기는 2자리 올림이라고 답글 달아주셨던

데 전가산기가 2진수 3자리 연산인데 1+1+1 해도 11이니까 1자리 올라간거아닌가요? 왜 2자리올림인거죠??

2. 2장 43쪽 기출문제 따라잡기의 3번문제 설명에 7이 4자리니까 4bit 로 가정한다고 했는데 7이면 111인데

왜 4자리로 가정하는거죠? 그리고 이런문제풀때는 원래 보기에서 제일높은 자릿수로 맞추는건가요?

3. 2진연산은 무조건 8bit로 맞추는건가요?

4. 49쪽에 6번문제 16진수 팩으로 표현한거 0 0 0 4 0 9 5 c로 8자리로 표현했는데 그 이유가 16진수 라서 8자리

일부러 맞춘건가요??

5.section047 에 ieee는 왜 127bias 사용법을 사용하나요? 그리고 가수부 부분이랑 bias 값을 왜 3 4 1 로

띄어서 쓰나요? 000 0000 0 이렇게요?

6.가수는 소수점 뒷자리 수를말하는건가요?

그리고 5+3을 예로들면 3이 감수고 5가 피감수인거죠??

7. sec 49에 자기보수에서 3초과코드 0111이 왜 10진수 4인건가요?

답변
2014-03-26 09:22:59

안녕하세요.

1)

1+1+1을 수행한다고 할 때 맨 처음의 1은 뒷자리에서 올라온 자리올림(Ci)수로 봅니다.

먼저 1+1을 수행하면 결과는 0이고 이번 계산의 새로운 자리올림(Ci+1)수 1이 발생합니다.

그 다음 계산은 0+1이 되어 최종 결과(Si)는 Ci+1이 1, Si는 0이 됩니다.

2)

자료를 표현할 때는 해당 자료가 처리되는 처리기에 따라 자리 수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문제가 제시될 때 몇 비트를 기준으로 한다는 조건이 제시되거나 보기들을 보고 몇 비트로 처리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죠.

기출문제 1번은 보기가 모두 8Bit로 표현된 것으로 보아 8Bit 처리기에서 처리되는 형태라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3번은 특별한 기준이 없고 단순히 표현 형태만 파악하기 위해 간단히 4비트로 가정하고 예를 들어 설명한 것입니다.

3)

2번 답변을 확인하세요.

4)

2번과 같은 맥락이네요. 표현 비트 수는 문제에 제시되거나 보기들의 비트 수를 보고 판단하면 됩니다.

5)

이 또한 문제에 주어지는 조건을 보고 Bias를 구분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자리를 띄운 것은 4Bit 끊어서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직접 풀어가는 과정에서는 꼭 자리를 구분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자리수가 많으므로 구분하게되면 실수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겠죠

6)

2-53쪽에 표현된 예제

+ 0.100100001 * 2^6

부호 : 맨 앞의 +

소수점 바로 뒤 100100001 : 가수부

* 뒤 2의 지수 6 : 지수부

7)

3초과 부호란 말 그대로 BCD 부호에 3을 더한 것입니다.

3초과 부호의 4는 BCD에서는 4에 3을 더한 7이 되는 값입니다.

BCD로 7을 표현하면 0111, 이것이 3초과 부호의 4와 같은 것이죠.

그래서 3초과 부호라고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4-03-26 09:22:59

    안녕하세요.

    1)

    1+1+1을 수행한다고 할 때 맨 처음의 1은 뒷자리에서 올라온 자리올림(Ci)수로 봅니다.

    먼저 1+1을 수행하면 결과는 0이고 이번 계산의 새로운 자리올림(Ci+1)수 1이 발생합니다.

    그 다음 계산은 0+1이 되어 최종 결과(Si)는 Ci+1이 1, Si는 0이 됩니다.

    2)

    자료를 표현할 때는 해당 자료가 처리되는 처리기에 따라 자리 수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문제가 제시될 때 몇 비트를 기준으로 한다는 조건이 제시되거나 보기들을 보고 몇 비트로 처리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죠.

    기출문제 1번은 보기가 모두 8Bit로 표현된 것으로 보아 8Bit 처리기에서 처리되는 형태라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3번은 특별한 기준이 없고 단순히 표현 형태만 파악하기 위해 간단히 4비트로 가정하고 예를 들어 설명한 것입니다.

    3)

    2번 답변을 확인하세요.

    4)

    2번과 같은 맥락이네요. 표현 비트 수는 문제에 제시되거나 보기들의 비트 수를 보고 판단하면 됩니다.

    5)

    이 또한 문제에 주어지는 조건을 보고 Bias를 구분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자리를 띄운 것은 4Bit 끊어서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직접 풀어가는 과정에서는 꼭 자리를 구분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자리수가 많으므로 구분하게되면 실수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겠죠

    6)

    2-53쪽에 표현된 예제

    + 0.100100001 * 2^6

    부호 : 맨 앞의 +

    소수점 바로 뒤 100100001 : 가수부

    * 뒤 2의 지수 6 : 지수부

    7)

    3초과 부호란 말 그대로 BCD 부호에 3을 더한 것입니다.

    3초과 부호의 4는 BCD에서는 4에 3을 더한 7이 되는 값입니다.

    BCD로 7을 표현하면 0111, 이것이 3초과 부호의 4와 같은 것이죠.

    그래서 3초과 부호라고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