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문제의 대한 질문 입니다.
도서
[2012]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페이지
147
조회수
122
작성일
2012-02-13
작성자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시나공을 즐겨 사용하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에서

첫번째) 1-147p 기출문제 4번 문제를 푸는데

답이 정확히 이해가 안되네요.

우선은 거치는 경로가 0,1,3,5 이렇게 나왔는데요.

시작점에서 완료점까지 가장 긴 거리라면

0,1,3,4,5 나 0,2,3,4,5가 가장 긴 거리인거 같은데 답은 0,1,3,5 이렇게 나와서요.

왜 0,1,3,5가 0,1,3,4,5보다 최단거리인지 알고 싶습니다.

두번째)1-172p 예상문제은행 18번 문제를 푸는데

결과가 ABCDEHCFGIJ 인데

문제가 E의 왼쪽 및 오른쪽 포인트에는 어느 노드를 지정해야 하는 가인데

책에선 왼쪽H 오른쪽도 H라고 적혀있는데요.

결과에서보면 왼쪽이 D이고 오른쪽이 H 인데

무슨이유로 왼쪽 오른쪽 둘다 H를 답으로 선정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ㅇ^

답변
2012-02-14 09:32:20

안녕하세요.

1)

문의하신 0, 1, 3, 4, 5로 거치는 경로의 거리는 13+9+10+3 = 35 이 됩니다.

교재에서 언급한 경로인 0, 1, 3, 5의 거리는 13+9+14 = 36이 됩니다.

2)

스레드 2진 트리를 운행할 때 Nill 포인트의 유무에 따라 진행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스레드 이진 트리 표현 방법(교재 1-143p)
- 어떤 노드의 왼쪽 링크 포인터가 Nil이면 그 노드의 직전에 검사된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사용하고, 오른쪽 링크 포인터가 Nil이면 그 노드의 직후에 검사될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사용한다.
- 해당 노드의 직전, 직후 노드는 트리의 운행법(Traversal)에 따라 방문한 노드의 순서대로 결정한다.

H의 왼쪽은 Nill이 아니므로 트리의 운행법에 따라 방문한 노드의 순서대로 결정

H의 오른쪽은 Nill이므로 트리의 운행법에 따라 방문할 때 그 노드의 직후에 검사될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사용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2-02-14 09:32:20

    안녕하세요.

    1)

    문의하신 0, 1, 3, 4, 5로 거치는 경로의 거리는 13+9+10+3 = 35 이 됩니다.

    교재에서 언급한 경로인 0, 1, 3, 5의 거리는 13+9+14 = 36이 됩니다.

    2)

    스레드 2진 트리를 운행할 때 Nill 포인트의 유무에 따라 진행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스레드 이진 트리 표현 방법(교재 1-143p)
    - 어떤 노드의 왼쪽 링크 포인터가 Nil이면 그 노드의 직전에 검사된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사용하고, 오른쪽 링크 포인터가 Nil이면 그 노드의 직후에 검사될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사용한다.
    - 해당 노드의 직전, 직후 노드는 트리의 운행법(Traversal)에 따라 방문한 노드의 순서대로 결정한다.

    H의 왼쪽은 Nill이 아니므로 트리의 운행법에 따라 방문한 노드의 순서대로 결정

    H의 오른쪽은 Nill이므로 트리의 운행법에 따라 방문할 때 그 노드의 직후에 검사될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사용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