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이야기해서
기출문제집을 보면 밑에 전문가에 조언이 있잖아요.
기출문제집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해서
개념까지 보려고 정리집 보면 등급은 b 섹션이고
외울 개념은 정말 많은데
위에 출제된 년도 보면 10년동안 한번 출제 문제인데 ..
10년동안 한번 나온게 왜 중요하다는건지. 그래도 b섹션이니까 보긴 봐야하나
오히려 그 뒷장에 나오는 c 섹션이 출제 되었던 횟수가 몇개는 더 많네요
a,b,c,d 의 섹션개념이 무색하리 만큼 맞지 않는 경우도 있고
-----
이런 경우도 있어요.
예를들어
기출 문제집 전문가의 조언에서 갑 개념 보다는 을 개념이 잘나온다고해서
정리차원에서 본권 정리집 보면
잘안나온다는 갑 개념 문제가 기출문제로 13번정도 나왔고
잘 나온다는 을 개념은 5번정도 나왔네요. 두배 이상 차이나요.
기출문제집에서는 이게 중요해. 더 자주나와. 이러는데 막상 본권 정리집 기출 문제 비율보면
그 반대의 경우가 있다는겁니다.
이런 문제가 심심치 않게 보여서..
직장인다 보니 효율성이 중요한데
어떤 말이 맞는 건지..
어디에 중점을 두고 공부 해야하는지 매우 헷갈립니다.
공부 하다 보니 매우 답답하네요
과목마다 특성이 있어서 개념이 더중요한게 있고 기출문제가 중요한게 있고 그런 답변은 사양합니다.
왜냐하면 2과목에서만 이런게 아니고
기출문제가 포인트인 3과목에서도 똑같은 경우가 있더라구요.
책만 봐서는 두권의 책이 맞지 않는 부분 때문에 오히려 더 헷갈리네요 ㅠ
개인의 공부 방법을 알려 달라는게 아니구요!
적어도 이책을 사용해서 공부 할때는
책의 어느 부분은 보고 넘기고. 어느 부분은 잘 사용해라.
어떤 방법으로 어떤 방향으로 공부 해야할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섹션은 시험에 출제될 수 있는 단위인 필드들이 여럿 모여서 구성된 것으로
관련 필드들의 출제 비중을 모두 포함한 등급입니다.
기출문제집의 문제별 전문가 조언은 해당 문제에 관련된 필드의 비중이므로 섹션의 등급과 다를 수 있습니다.
특정 섹션에서 특정 필드는 출제비율이 높은 반면 연관된 내용으로 함께 포함된 필드는 출제비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즉 관련 내용이라 함께 수록되었지만 출제 비중은 낮을 수 있죠. 이런 문제에 대한 비중은 섹션과 다르게 낮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출문제집의 문제별 전문가의 조언은 섹션 등급과는 다르게 해당 문제의 출제 비중을 감안한 조언임을 염두에 두고 학습하시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2-22 09:33:06
안녕하세요.
섹션은 시험에 출제될 수 있는 단위인 필드들이 여럿 모여서 구성된 것으로
관련 필드들의 출제 비중을 모두 포함한 등급입니다.
기출문제집의 문제별 전문가 조언은 해당 문제에 관련된 필드의 비중이므로 섹션의 등급과 다를 수 있습니다.
특정 섹션에서 특정 필드는 출제비율이 높은 반면 연관된 내용으로 함께 포함된 필드는 출제비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즉 관련 내용이라 함께 수록되었지만 출제 비중은 낮을 수 있죠. 이런 문제에 대한 비중은 섹션과 다르게 낮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출문제집의 문제별 전문가의 조언은 섹션 등급과는 다르게 해당 문제의 출제 비중을 감안한 조언임을 염두에 두고 학습하시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