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페이지에서
3 E-R 모델을 관계 모델의 테이블로 변환
이 밑의 내용에서
관계 Y가 1:1 관계이면
1. 사람과 출생지의 대응수인 (1,1)를 가리키는건지? ( 즉, 하나의 개체와 관계의 대응수를 빗대어 말하는건지요)
아니면
2. [사람]과 [도시]의 대응관계 (대응관계는 최대대응수로 표현하니까)인 1:N을 뜻하는건가요?
만약 2가 맞다면
1-55페이지 중간부분의
* Y가 1:N관계이면 개체 A의 기본키를 개체 B의 외래키로 추가하여 표현하거나 별도의 테이블로 표현한다.
이부분에서 이해가 안가는데요
여기서 또 하나 질문하자면...
별도의 테이블로 표현하는 방법은
개체A,B의 기본키로만 테이블로 구성하는 방법인걸 알겠는데요(이때, 외래키가 됨)
개체A의 기본키를 개체 B의 외래키로 추가하여 표현한다는데..
1-56의 <1:N 관계를 별도의 관계 테이블로 분리하지 않은 경우> 나
1057의 3번문제보면
개체B의 기본키를 개체A의 외래키로 쓴게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1)
사람과 출생지의 관계는 1:1입니다. 모든 사람의 출생지는 한 곳이기 때문이죠.
사람과 도시의 관계는 N:1입니다. 한 도시에는 여러 사람이 거주할 수 있지만 한 사람이 여러 도시에 거주할 수는 없죠.
2)
사람과 도시의 관계가 1-56에서와 같이 표현된 것입니다.
<사람> 테이블
주민번호 도시이름 이름
1111 서울 홍길동
2222 서울 박문수
3333 대구 오징어
4444 대구 고등어
<도시> 테이블
서울 2
대구 2
위와 같이 서울에는 홍길동과 박문수 2명이 거주하고, 대구에는 오징어와 고등어 2명이 거주합니다.
즉 1인 도시 테이블의 도시이름을 N인 사람 테이블의 외래키로 추가하여 표현한 것입니다.
1:N으로 표현된 관계에서는 어느 쪽이 1이고 어느 쪽이 N인지 확인한 후 1쪽의 기본키를 N쪽의 외래키로 추가하여 표현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5-11 10:25:41
안녕하세요.
1)
사람과 출생지의 관계는 1:1입니다. 모든 사람의 출생지는 한 곳이기 때문이죠.
사람과 도시의 관계는 N:1입니다. 한 도시에는 여러 사람이 거주할 수 있지만 한 사람이 여러 도시에 거주할 수는 없죠.
2)
사람과 도시의 관계가 1-56에서와 같이 표현된 것입니다.
<사람> 테이블
주민번호 도시이름 이름
1111 서울 홍길동
2222 서울 박문수
3333 대구 오징어
4444 대구 고등어
<도시> 테이블
서울 2
대구 2
위와 같이 서울에는 홍길동과 박문수 2명이 거주하고, 대구에는 오징어와 고등어 2명이 거주합니다.
즉 1인 도시 테이블의 도시이름을 N인 사람 테이블의 외래키로 추가하여 표현한 것입니다.
1:N으로 표현된 관계에서는 어느 쪽이 1이고 어느 쪽이 N인지 확인한 후 1쪽의 기본키를 N쪽의 외래키로 추가하여 표현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