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정보처리 산업기사 필기 질문
도서
[2015]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페이지
조회수
112
작성일
2015-02-17
작성자
첨부파일

2-81쪽 3번에서 1024워드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1024 * 8bit아닌가요?

8번에서 보기 1전의 ROL, ROR은 무엇인가요

15번도 잘 모르겠네요

16번은 논리 마이크로 동작이라는 말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17번의 번지 필드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재귀, 서브루틴, 루틴의 정확한 정의 설명 부탁드립니다

2-87번 14번에서 16진수를 2진수로 바꾸는 공식좀 설명해 주세요

2-92쪽 6번 보기 3,4설명부탁드려요

그리고 2-96쪽에서 상대주소에서 명령어의 주소부분 +PC라고 되있는데 다른분은 PC가 아니고 AC라던데 뭐가 맞는가요?

2-98번 9번이 잘 이해가 안가네요

그리고 12번에 2번아닌가요? 정답에 4번으로 되어있네요

2-159쪽 9,10 번 모르겠넫요

3-92쪽 10번에서 LOOK기법은 SCAN기법을 베이스로 하니끼 이동 순서가 50-55-40-35-10아닌가요?SCAN기법은 탐색거리가 짧은순서에 따라 그 방향을 정하잖아요

답변
2015-02-23 10:05:44

안녕하세요.

1)

단위가 워드입니다.

4번의 경우 어드레스의 크기가 16 비트이므로 용량이 64K 워드가 되는 것이고

3번의 경우 용량이 1024 워드이므로 어드레스의 크기가 10비트가 되는 것입니다.

2)

ROL은 왼쪽으로 회전(로테이션), ROR은 오른쪽으로 회전(로테이션)을 의미합니다.

3)

데이터 처리는 함수 연산 기능이고 전송 명령은 자료 전달 기능을 의미합니다. 2-80쪽 참조

4)

번지 필드란 해당 명령을 수행할 자료가 있는 위치의 주소를 기억하는 필드를 의미합니다.

즉 어느 곳으로 Jump, branch을 할 지 그 위치가 필요하고 Call은 무엇을 호출할 지 그 위치가 필요한데 그 위치가 번지 필드인 것이죠.

5)

루틴이란 하나의 처리 과정을 의미하며, 해당 처리 과정을 진행하는 동안 부수적으로 필요한 곳이 있으 그곳을 호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서브루틴을 호출한다고 합니다. 또한 재귀란 한 루틴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여 반복 실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재귀 호출, 재귀 루틴이라고 합니다.

6)

16진수를 2진수롤 변환할 때는 16진수 1자리를 2진수 4자리로 변환합니다.

16 F는 15이므로 2진수 4자리로 표현하면 1111이 됩니다.

2-40쪽을 참조하세요.

7)

Unary는 단항 연산, 즉 자료가 1개 필요한 연산입니다.

Binay는 이항 연산, 즉 자료가 2개 필요한 연산입니다.

2-80쪽 잠깐만요 참조

8)

상대주소의 유효주소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것은 PC(프로그램 카운터)가 맞습니다.

9)

앞서 상대주소의 유효주소를 계산할 때 유효주소에 PC의 값을 더해서 계산한다고 하였으니

유효주소 56 + PC 751 = 807

유효주소 -61 + PC 751 = 690

이 됩니다.

10)

레지스터 모드의 간접주소이므로 레지스터 간접 주소지정방식입니다.

11)

2-158쪽 마지막에 제시된 주소선의 수를 구하는 것은 공식처럼 기억해야 합니다.

주소선의 수는 MAR과 PC와 같고

데이터 버스의 비트 수는 MBR과 IR과 같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자세하게 설명된 해설을 다시한번 참고해서 이해해 보세요.

12)

현재 이동 방향이 0방향 쪽이므로 50 - 40 - 35 - 10 - 55가 맞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5-02-23 10:05:44

    안녕하세요.

    1)

    단위가 워드입니다.

    4번의 경우 어드레스의 크기가 16 비트이므로 용량이 64K 워드가 되는 것이고

    3번의 경우 용량이 1024 워드이므로 어드레스의 크기가 10비트가 되는 것입니다.

    2)

    ROL은 왼쪽으로 회전(로테이션), ROR은 오른쪽으로 회전(로테이션)을 의미합니다.

    3)

    데이터 처리는 함수 연산 기능이고 전송 명령은 자료 전달 기능을 의미합니다. 2-80쪽 참조

    4)

    번지 필드란 해당 명령을 수행할 자료가 있는 위치의 주소를 기억하는 필드를 의미합니다.

    즉 어느 곳으로 Jump, branch을 할 지 그 위치가 필요하고 Call은 무엇을 호출할 지 그 위치가 필요한데 그 위치가 번지 필드인 것이죠.

    5)

    루틴이란 하나의 처리 과정을 의미하며, 해당 처리 과정을 진행하는 동안 부수적으로 필요한 곳이 있으 그곳을 호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서브루틴을 호출한다고 합니다. 또한 재귀란 한 루틴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여 반복 실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재귀 호출, 재귀 루틴이라고 합니다.

    6)

    16진수를 2진수롤 변환할 때는 16진수 1자리를 2진수 4자리로 변환합니다.

    16 F는 15이므로 2진수 4자리로 표현하면 1111이 됩니다.

    2-40쪽을 참조하세요.

    7)

    Unary는 단항 연산, 즉 자료가 1개 필요한 연산입니다.

    Binay는 이항 연산, 즉 자료가 2개 필요한 연산입니다.

    2-80쪽 잠깐만요 참조

    8)

    상대주소의 유효주소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것은 PC(프로그램 카운터)가 맞습니다.

    9)

    앞서 상대주소의 유효주소를 계산할 때 유효주소에 PC의 값을 더해서 계산한다고 하였으니

    유효주소 56 + PC 751 = 807

    유효주소 -61 + PC 751 = 690

    이 됩니다.

    10)

    레지스터 모드의 간접주소이므로 레지스터 간접 주소지정방식입니다.

    11)

    2-158쪽 마지막에 제시된 주소선의 수를 구하는 것은 공식처럼 기억해야 합니다.

    주소선의 수는 MAR과 PC와 같고

    데이터 버스의 비트 수는 MBR과 IR과 같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자세하게 설명된 해설을 다시한번 참고해서 이해해 보세요.

    12)

    현재 이동 방향이 0방향 쪽이므로 50 - 40 - 35 - 10 - 55가 맞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