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 산업기사 15년도판입니다 필기
1. 가중치 비가중치 코드의 의미가 잘 이해가 안갑니다
2. 2-53쪽의 6번이 이해가 안됩니다. 16진수라 함은 0123456789ABCDF10 이게 맞는지요?
잘 이해가 안되네요 4095가 16진수가 맞는건가요?
3. 2-54쪽의 9번에서 2의 보수표현 11110101까진 구했는데 16진수 표현으로 바꾸라는것이 해설도 빈약하고 잘 이해가 가지 않네요. 13번의 경우 7자리 모두 더했는데 왜 9번은 앞 4자리와 뒤 4자리를 각각계산하나요 \
4. 2-68쪽의 13번에서 가중치의 의미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5. 2-68쪽 16번 보기 4번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1)
가중치란 코드의 각 자리마다 가중치 값이 있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BCD(일명 8421)코드는 각 자리마다 8421의 가중치 값이 있는데,
8421코드의 값이 1010이라면 10진수로 변환하면 각 자리값에 가중치 값을 곱한 후 더하면 됩니다.
1*8 + 0*4 + 1*2 + 0*1 = 8 + 0 + 2 + 0 = 10
이와 같이 각 자리마다 가중치 값이 있는 경우를 가중치 코드라 합니다.
이와 달리 비가중치 코드는 가중치 값이 없이 각 코드별로 지닌 방법으로 처리를 수행합니다.
2)
4095
10 이상의 값만 A, B, C, D, ~로 표현하고 9 이하의 값은 16진수도 그대로 표현합니다.
3)
16진수는 2진수 4자리를 한 묶음으로 변환(2-43쪽 참조)합니다.
그러므로 1111 0101 은 1111 -> F, 0101 -> 5 그래서 F5로 변환한 것입니다.
4)
7421 코드의 2와 1 위에 Bar(-)가 붙은 것은 마이너스(-)를 의미합니다.
즉 가중치 값이 7, 4, -2, -1을 갖는다는 의미입니다.
5)
홀수 패리티를 부여, 즉 전체 1의 개수가 홀수가 되도록 패리티비트를 부여할 때 XNOR 회로를 이용해서 부여한다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2-17 09:33:50
안녕하세요.
1)
가중치란 코드의 각 자리마다 가중치 값이 있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BCD(일명 8421)코드는 각 자리마다 8421의 가중치 값이 있는데,
8421코드의 값이 1010이라면 10진수로 변환하면 각 자리값에 가중치 값을 곱한 후 더하면 됩니다.
1*8 + 0*4 + 1*2 + 0*1 = 8 + 0 + 2 + 0 = 10
이와 같이 각 자리마다 가중치 값이 있는 경우를 가중치 코드라 합니다.
이와 달리 비가중치 코드는 가중치 값이 없이 각 코드별로 지닌 방법으로 처리를 수행합니다.
2)
4095
10 이상의 값만 A, B, C, D, ~로 표현하고 9 이하의 값은 16진수도 그대로 표현합니다.
3)
16진수는 2진수 4자리를 한 묶음으로 변환(2-43쪽 참조)합니다.
그러므로 1111 0101 은 1111 -> F, 0101 -> 5 그래서 F5로 변환한 것입니다.
4)
7421 코드의 2와 1 위에 Bar(-)가 붙은 것은 마이너스(-)를 의미합니다.
즉 가중치 값이 7, 4, -2, -1을 갖는다는 의미입니다.
5)
홀수 패리티를 부여, 즉 전체 1의 개수가 홀수가 되도록 패리티비트를 부여할 때 XNOR 회로를 이용해서 부여한다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