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인강 질문
도서
[2014]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페이지
1
조회수
76
작성일
2014-04-15
작성자
첨부파일

유수쌤 인강도 듣고 이 책에 포함된 강의 잠깐 들어볼까하고 봤는데

이 인강에서 기본 순서도에서와 같은 반복문으로 표현 시

변수 i, hap을 i<5 까지 반복 시

기본 순서도는 i가 5로 출력되고 반복문에서는 1,5,1 일때 i가 6으로 출력된다고 하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유수쌤 인강에서는 반복문에서 이럴 경우 5까지만 하고 끝나던데

헷갈리네요

답변
2014-04-16 09:19:37

안녕하세요.

반복문에서 사용하는 반복 변수는 반복문을 빠져나올 때 증가치가 한번 더 적용된 형태로 빠져나옵니다.

예를 들어 i = 1, 5, 1인 상태로 반복문을 진행하면 최종 i는 6이 되어 빠져나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반복 변수가 반복문 밖에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디버깅은 5까지만 수행하게 됩니다.

정석으로 한다면 6까지 해야 맞는 것이죠. 하지만 실제 시험에서의 디버깅 공간과 시간 안배를 위해 반복 변수가 반복문을 빠져나간 후 바로 사용되는 경우가 아니면 약식으로 최종값 까지만 디버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물론 교재에도 그렇습니다.

교재에서도 삽입 정렬의 경우 섹션 알고리즘에서 반복 변수 k가 반복문을 빠져나간 뒤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반복문의 정석으로 증가치가 한번 더 적용된 형태로 디버깅 되었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해당 섹션 사이드 전문가의 조언으로 언급되어 있으니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4-04-16 09:19:37

    안녕하세요.

    반복문에서 사용하는 반복 변수는 반복문을 빠져나올 때 증가치가 한번 더 적용된 형태로 빠져나옵니다.

    예를 들어 i = 1, 5, 1인 상태로 반복문을 진행하면 최종 i는 6이 되어 빠져나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반복 변수가 반복문 밖에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디버깅은 5까지만 수행하게 됩니다.

    정석으로 한다면 6까지 해야 맞는 것이죠. 하지만 실제 시험에서의 디버깅 공간과 시간 안배를 위해 반복 변수가 반복문을 빠져나간 후 바로 사용되는 경우가 아니면 약식으로 최종값 까지만 디버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물론 교재에도 그렇습니다.

    교재에서도 삽입 정렬의 경우 섹션 알고리즘에서 반복 변수 k가 반복문을 빠져나간 뒤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반복문의 정석으로 증가치가 한번 더 적용된 형태로 디버깅 되었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해당 섹션 사이드 전문가의 조언으로 언급되어 있으니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