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Section39 배열 12-행렬변환 문제 질문
도서
[2014]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페이지
207
조회수
85
작성일
2014-04-13
작성자
첨부파일

플로차트에 보면 i,j가 배열 A의 행 , 열 위치를 지정해주는 변수 라고 되있고 K,L이 배열 B의 행 열 위치를 지정해주는 변수라고 되있는데 반대 아닌가요? 제가 디버깅 해봣는데 반대로 하면 답이 되던데..

13번과정 1번의 답이 B(L,M)=A(i,j) 인데 이게 반대로 B(i,j)=A(L,M)일때 밑의 과정들이 성립이 되더라구여.

제가 잘못 디버깅한 거인가요?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해설지 24page - section15 (3)의답 E=DX2^(5-C) 인데

여기서 ^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제곱인가요?

답변
2014-04-14 15:27:06

안녕하세요.

1)

이 알고리즘은 먼저 A 배열에 값을 저장한 후 그 값을 B 배열로 옮기는 것입니다.

첫번째 반복문에서 사용한 i와 J의 값은 그래서 A 배열을 위치를 지정하는 변수로 사용된 것이죠.

두번째 반복문은 배열 A의 값을 배열 B로 옮기는 것으로 i와 J의 값으로 옮길 A 배열의 위치를 지정한 후 그 값을 B 배열의 L, M 위치로 이동하는 알고리즘입니다.

해설 76쪽에 제시된 각 변수의 값 변화를 확인하면서 다시한번 디버깅해 보세요.

2)

^은 승수 값을 의미합니다.

2^10은 2의 10승을 의미합니다.

2^(5-C)는 2의 (5-C)승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4-04-14 15:27:06

    안녕하세요.

    1)

    이 알고리즘은 먼저 A 배열에 값을 저장한 후 그 값을 B 배열로 옮기는 것입니다.

    첫번째 반복문에서 사용한 i와 J의 값은 그래서 A 배열을 위치를 지정하는 변수로 사용된 것이죠.

    두번째 반복문은 배열 A의 값을 배열 B로 옮기는 것으로 i와 J의 값으로 옮길 A 배열의 위치를 지정한 후 그 값을 B 배열의 L, M 위치로 이동하는 알고리즘입니다.

    해설 76쪽에 제시된 각 변수의 값 변화를 확인하면서 다시한번 디버깅해 보세요.

    2)

    ^은 승수 값을 의미합니다.

    2^10은 2의 10승을 의미합니다.

    2^(5-C)는 2의 (5-C)승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