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정답을 보기 3번(P<=77) 이라고 생각했는데요.
정답 해설지를 보니 20번(P<77) 이라고 되어있더군요.
어떻게 해서 P<77이 답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1*77 부터 해서 77*1 까지의 모든 결과 값을 h 에 저장한걸 출력하면
77*1 까지의 결과가 필요하니 P<77 이 아니라 P<=77 혹은 P<78 이 되어야 된다고 이해가 되는데,
어떤점을 잘못 파악하고 있는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작업선택시에 보기 37번(P:77) 은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분기문에서 X:33 이런식으로 나오더라구요.
안녕하세요.
P가 1일 때 Q는 77이 되죠
그런다음 P<77을 비교합니다.
즉 처리를 한 다음에 비교하는 것이죠.
P가 77일 때 Q는 1이 됩니다.
그런다음 P<77 비교하여 No가 되어 종료됩니다. 즉 77까지 처리하는 것이죠.
그런데 P<=77로 비교하면 Yes가 되어 한번더 처리를 합니다. 즉 P가 78일때까지 처리를 하여 78×0 까지 수행하게 되죠.
처리하고 비교하느냐
비교하고 처리하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이점 꼭 염두에 두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4-04-03 09:37:49
안녕하세요.
P가 1일 때 Q는 77이 되죠
그런다음 P<77을 비교합니다.
즉 처리를 한 다음에 비교하는 것이죠.
P가 77일 때 Q는 1이 됩니다.
그런다음 P<77 비교하여 No가 되어 종료됩니다. 즉 77까지 처리하는 것이죠.
그런데 P<=77로 비교하면 Yes가 되어 한번더 처리를 합니다. 즉 P가 78일때까지 처리를 하여 78×0 까지 수행하게 되죠.
처리하고 비교하느냐
비교하고 처리하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이점 꼭 염두에 두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