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67의 순서도에서 보면
위에
List1=A(N1)
List2=B(N2)
라고 정의되어 있어서
순서도 밑에 보면 좌측과 우측에
List1=A(N1)
List2=B(N2)
다시 정의되는 부분은 굳이 필요 없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문제만 주어지고 순서도를 직접 그려서 문제를 해결하라고 한다면 순서도를 작성하는 사람의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작성한 후 문제를 해결하면 됩니다.
하지만 현 시험 방식은 이미 제시된 순서도의 빈괄호를 채우는 것으로 이미 그려진 순서도를 먼저 파악한 후 그 순서도에 맞게 빈 괄호를 채우는 것이죠.
보통 초기값을 임의의 변수에 저장한 후 저장된 변수를 사용하는 경우는 초기의 값을 유지하지 위한 방법입니다.
이미 순서도가 제시된 상태에서 빈괄호는 채우는 시험 방식에서는 제시된 순서도의 비 효율적인 부분을 확인하기 보다는 주어진 순서도를 빨리 파악하여 순서도의 흐름을 이해한 후 빈 괄호를 채우는 연습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9-30 09:33:33
안녕하세요.
문제만 주어지고 순서도를 직접 그려서 문제를 해결하라고 한다면 순서도를 작성하는 사람의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작성한 후 문제를 해결하면 됩니다.
하지만 현 시험 방식은 이미 제시된 순서도의 빈괄호를 채우는 것으로 이미 그려진 순서도를 먼저 파악한 후 그 순서도에 맞게 빈 괄호를 채우는 것이죠.
보통 초기값을 임의의 변수에 저장한 후 저장된 변수를 사용하는 경우는 초기의 값을 유지하지 위한 방법입니다.
이미 순서도가 제시된 상태에서 빈괄호는 채우는 시험 방식에서는 제시된 순서도의 비 효율적인 부분을 확인하기 보다는 주어진 순서도를 빨리 파악하여 순서도의 흐름을 이해한 후 빈 괄호를 채우는 연습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