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이해 자체가 잘 되지 않습니다..
특히 3번에서 이동할 배열의 행을 나타내는 L=6-H 이 부분이 전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배열을 분석해보면
반복변수2 반복변수1
X Y -> ->
(1,1) (1,5) (5,5)
(1,2) (2,5) (5,4)
(1,3) (3,5) (5,3)
(1,4) (4,5) (5,2)
(1,5) (5,5) (5,1)
이런데... 그렇타면.. X,Y가 Y,H 가 되었다고 할경우(반복변수를 X로 했기 떄문)
L(열)=6-Y 이것 아닙니까?..
아 너무 이해가 안되서 설명도 잘 못하겠씁니다....
안녕하세요.
218쪽에 수록된 반복문은 배열 P에 2부터 50까지 2씩 증가하면서 값을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그 후 219쪽에서는 X가 2일 동안에는 배열 P의 값을 배열 Q로 90도 회전하는 과정이고
X가 1일 동안에는 배열 Q의 값을 배열 P로 다시 90도 회전하는 과정입니다.
순서도가 잘 이해되지 않을 경우에는 정답을 보고 우선 빈 괄호를 모두 채운 상태에서 디버깅을 수행하면서 각 값들의 변화를 확인해 보면 쉽게 이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도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02-323-0922(1시~5시)로 전화주시면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9-30 09:28:34
안녕하세요.
218쪽에 수록된 반복문은 배열 P에 2부터 50까지 2씩 증가하면서 값을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그 후 219쪽에서는 X가 2일 동안에는 배열 P의 값을 배열 Q로 90도 회전하는 과정이고
X가 1일 동안에는 배열 Q의 값을 배열 P로 다시 90도 회전하는 과정입니다.
순서도가 잘 이해되지 않을 경우에는 정답을 보고 우선 빈 괄호를 모두 채운 상태에서 디버깅을 수행하면서 각 값들의 변화를 확인해 보면 쉽게 이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도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02-323-0922(1시~5시)로 전화주시면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