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해주신 내용으로 보면 오름차순(낮은 점수가 1등)이든 내림차순(높은점수가 1등)이든
석차값(등수) 1부터가 기준이 된다는 것입니까?
예로 질문드리겠습니다..
여기만 답변해주시면 됩니다.
1.오름차순 조건에서 10명의 점수가 전부 동점일때 석차값은 무엇입니까?
- 10 입니까? 아니면 1입니까?
2.내림차순 조건에서 10명의 점수가 전부 동점일때 석차값은 무엇입니까?
- 10 입니까? 아니면 1입니까?
3.오름차순의 석차를 높은 점수대로 정렬하여 출력 할때 동점이 있을때의 방식은 ?
(4번째 5번째로 높은점수가 동점일시)
- 10, 9, 8, 7, 7, 5, 4, 3, 2, 1 입니까?
- 10, 9, 8, 6, 6, 5, 4, 3, 2, 1 입니까?
안녕하세요.
동점인 경우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총점이 아래와 같은 경우
90 60 50 80 70 50
처음에 석차, 즉 R은 모두 1입니다.
i가 1일 때 HAP(i)는 90이 되어 다른 값과 비교해서 석차를 산출합니다.
HAP(i) > HAP(J)로 인해 HAP(i)가 다른 5개(60, 50, 80, 70 ,50) 값에 비해 크므로 R이 5번 증가하여 90점의 R은 6이 됩니다.
i가 2일 때 HAP(i)는 60이 되어 다른 값과 비교해서 석차를 산출합니다.
HAP(i) > HAP(J)로 인해 HAP(i)가 다른 2개(50, 50) 값에 비해 크므로 R이 2번 증가하여 60점의 R은 3이 됩니다.
i가 3일 때 HAP(i)는 50이 되어 다른 값과 비교해서 석차를 산출합니다.
HAP(i) > HAP(J)로 인해 HAP(i)가 다른 값에 비해 크지 않으므로 R이 증가하지 않아 50점의 R은 초기값 그대로 1이 됩니다.
i가 4일 때 HAP(i)는 80이 되어 다른 값과 비교해서 석차를 산출합니다.
HAP(i) > HAP(J)로 인해 HAP(i)가 다른 4개(60, 50, 70, 50) 값에 비해 크므로 R이 4번 증가하여 80점의 R은 5가 됩니다.
i가 5일 때 HAP(i)는 70이 되어 다른 값과 비교해서 석차를 산출합니다.
HAP(i) > HAP(J)로 인해 HAP(i)가 다른 3개(60, 50, 50) 값에 비해 크므로 R이 3번 증가하여 70점의 R은 4가 됩니다.
i가 6일 때 HAP(i)는 50이 되어 다른 값과 비교해서 석차를 산출합니다.
HAP(i) > HAP(J)로 인해 HAP(i)가 다른 값에 비해 크지 않으므로 R이 증가하지 않아 50점의 R은 초기값 그대로 1이 됩니다.
여기서 HAP(i) >= HAP(J)가 된다면 마지막 50점의 R은 2가 되어 동일 석차가 부여되지 않습니다.
결국, 오름차순 정렬 방식으로 지정될 경우
총점 석차
90 6
60 3
50 1
80 5
70 4
50 1
가 부여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3-07-10 09:15:03
안녕하세요.
동점인 경우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총점이 아래와 같은 경우
90 60 50 80 70 50
처음에 석차, 즉 R은 모두 1입니다.
i가 1일 때 HAP(i)는 90이 되어 다른 값과 비교해서 석차를 산출합니다.
HAP(i) > HAP(J)로 인해 HAP(i)가 다른 5개(60, 50, 80, 70 ,50) 값에 비해 크므로 R이 5번 증가하여 90점의 R은 6이 됩니다.
i가 2일 때 HAP(i)는 60이 되어 다른 값과 비교해서 석차를 산출합니다.
HAP(i) > HAP(J)로 인해 HAP(i)가 다른 2개(50, 50) 값에 비해 크므로 R이 2번 증가하여 60점의 R은 3이 됩니다.
i가 3일 때 HAP(i)는 50이 되어 다른 값과 비교해서 석차를 산출합니다.
HAP(i) > HAP(J)로 인해 HAP(i)가 다른 값에 비해 크지 않으므로 R이 증가하지 않아 50점의 R은 초기값 그대로 1이 됩니다.
i가 4일 때 HAP(i)는 80이 되어 다른 값과 비교해서 석차를 산출합니다.
HAP(i) > HAP(J)로 인해 HAP(i)가 다른 4개(60, 50, 70, 50) 값에 비해 크므로 R이 4번 증가하여 80점의 R은 5가 됩니다.
i가 5일 때 HAP(i)는 70이 되어 다른 값과 비교해서 석차를 산출합니다.
HAP(i) > HAP(J)로 인해 HAP(i)가 다른 3개(60, 50, 50) 값에 비해 크므로 R이 3번 증가하여 70점의 R은 4가 됩니다.
i가 6일 때 HAP(i)는 50이 되어 다른 값과 비교해서 석차를 산출합니다.
HAP(i) > HAP(J)로 인해 HAP(i)가 다른 값에 비해 크지 않으므로 R이 증가하지 않아 50점의 R은 초기값 그대로 1이 됩니다.
여기서 HAP(i) >= HAP(J)가 된다면 마지막 50점의 R은 2가 되어 동일 석차가 부여되지 않습니다.
결국, 오름차순 정렬 방식으로 지정될 경우
총점 석차
90 6
60 3
50 1
80 5
70 4
50 1
가 부여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