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답항이 HAP(i) > HAP(J) 로 나와 있는데
석차구하기 조건으로
1.10명점수 합비교
2.오름차순
3.동점일시 동석차
주어졌기 때문에 HAP(i) >= HAP(J) 로 부등호가 "크거나 같다"가 맞다고 생각됩니다.
오름차순이기에 10명중 1등이 10 의 값을 가져야 되는데
만약 10명 모두 같은 점수라면 동석차이기에 석차값이 모두 10 의 값이 되야 합니다.
하지만 부등호가 > 일때는 R= R+1 부분이 처리가 안되므로
석차값이 0 이 나오게 됩니다.
똑같은 이유로 2위가 2명일때 10 / 9 / 9 / 7..... 이런식이여야 되는데
부등호가 > 일땐 10 / 8 / 8 / 7.... 로 처리가 된다고 생각됩니다.
고로 부등호가 >= 가 되야 하지 않을까 해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석차를 구하기 위해 자료를 정렬하는 방식에는 오름차순(낮은 점수 우선)과 내림차순(높은 점수 우선)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석차 구하기는 내림차순을 기준으로 하여 높은 점수를 1위로 선정합니다.
하지만 오름차순은 낮은 점수를 1위로 선정합니다.
145쪽의 문제를 다시한번 보시면 이 알고리즘은 오름차순을 기준으로 문제를 풀도록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점 학습에 참고하시고, 실제 시험에서도 꼭 문제의 내용과 처리조건을 자세히 읽어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7-09 09:09:41
안녕하세요.
석차를 구하기 위해 자료를 정렬하는 방식에는 오름차순(낮은 점수 우선)과 내림차순(높은 점수 우선)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석차 구하기는 내림차순을 기준으로 하여 높은 점수를 1위로 선정합니다.
하지만 오름차순은 낮은 점수를 1위로 선정합니다.
145쪽의 문제를 다시한번 보시면 이 알고리즘은 오름차순을 기준으로 문제를 풀도록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점 학습에 참고하시고, 실제 시험에서도 꼭 문제의 내용과 처리조건을 자세히 읽어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