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실기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알고리즘에서 초기치, 누적치 등에서 처음 값을 설정할 때 어떤 경우는 0에서 시작하고
어떤 경우는 0이 아닌 1에서 시작 하던데요, 교재를 봐도 이 부분이 잘 이해가 가질 않읍니다
쉬운 문제는 디버깅을 해보면 알겠는데 , 문제를 딱 보고 알 수는 없는 건가요?
공부를 하다보니 아주 중요한 것 같아서 질문드림니다.
안녕하세요.
초기치라는 것은 향후 처리과정에서 값의 변화를 예상하여 정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i=i+1과 같이 누적되는 값은 초기치를 반드시 지정해야 하는데, 1부터 누적된다면 그 이전 값이 0으로 초기치를 지정합니다.
하지만 i=i*1과 같이 곱의 누적의 경우 초기치를 0으로 하면 계속 0이 되겠죠. 이런 경우에는 1로 초기치를 지정합니다.
이와 같이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처음 값에 따라 초기치가 달라집니다. 이는 학습을 꾸준히 하시면서 익숙해 지게 되니 이를 염두에 두고 학습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6-28 09:09:31
안녕하세요.
초기치라는 것은 향후 처리과정에서 값의 변화를 예상하여 정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i=i+1과 같이 누적되는 값은 초기치를 반드시 지정해야 하는데, 1부터 누적된다면 그 이전 값이 0으로 초기치를 지정합니다.
하지만 i=i*1과 같이 곱의 누적의 경우 초기치를 0으로 하면 계속 0이 되겠죠. 이런 경우에는 1로 초기치를 지정합니다.
이와 같이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처음 값에 따라 초기치가 달라집니다. 이는 학습을 꾸준히 하시면서 익숙해 지게 되니 이를 염두에 두고 학습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