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2,10,1
KEY= A(i)
k=i-1,1,-1
조건문 A(K) > KEY
YES
A(K+1)= A(K)
NO
반복문 벗어남.
A(K+1)= KEY
값으로 되어있는데...
궁금합니다.
첫번째 회전에서 왜 K값이 0이 되는지???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하네요
K가 I-1,1,-1 이므로 K 초기값은 1이고 한번의 반복문 실행 후 K가 1인것 확인하고
반복문을 벗어나게 되어있는데. 왜 뜬금없이 K가 0이 되나요?
이렇게 따지자면 2회전에서도 K가 0까지 가야 하는 것 아닌가요...
이해가 도무지 안갑니다.
I=2일땐 1,0이고
I=3일떈 2,1이고
I=4일땐 3,2,1,0이고
I=5일땐 4,3,2,1이고....
2와 4일땐 마지막으로 감소시키고 빠져나와서 0이 나오고
3과 5일땐 1까지만 실행하네요?
뭐 이건 뭐....잘못 나온건지..알려주세요
일관성이 없어요...
추가로
만약 3,0,-1 이면
3,2,1,0,-1까지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반복문의 반복 변수는 증가치를 적용한 후 종료기준값과 비교합니다. 그래서 반복문을 빠져나올때 반복 변수는 증가치가 한 번 더 적용된 상태로 빠져나오는 것이죠.
K = i-1, 1, -1
i가 2라면
K는 i-1에 의해 1을 갖고 반복문을 수행합니다.
그런다음 증가치(-1)를 적용해 K가 0인 상태에서 종료기준값(1)과 비교합니다. 1보다 작으므로 반복문을 실행하지 않고 빠져나가는데, 이때 K는 증가치가 적용된 0인 상태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4-22 09:40:15
안녕하세요.
반복문의 반복 변수는 증가치를 적용한 후 종료기준값과 비교합니다. 그래서 반복문을 빠져나올때 반복 변수는 증가치가 한 번 더 적용된 상태로 빠져나오는 것이죠.
K = i-1, 1, -1
i가 2라면
K는 i-1에 의해 1을 갖고 반복문을 수행합니다.
그런다음 증가치(-1)를 적용해 K가 0인 상태에서 종료기준값(1)과 비교합니다. 1보다 작으므로 반복문을 실행하지 않고 빠져나가는데, 이때 K는 증가치가 적용된 0인 상태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