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버깅표에 B(i+1)의 의미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순서도에 보면 반복문 I=14,2,-1 D=안에 있는 B(I-1)=B(I-1)+MOK의 의미인가요?
아니면 I=1,12,1안에 있는 B(i+2)= B(i+2)+A(i)의 의미인가요?
98765를 입렬받았을 경우 B(i+1) 의 결과값이 왜 98765가 나오는지 궁급합니다.
셤도 얼마 안남았는데 교재에 있는 알고리즘 문제 반도 이해 못했는데 큰일이네요..
셤은보는건 보는거고 다음시험을 기약해야 할거 같습니다. 이번년도 1회시험 합격하고 나서 준비기간이 짧아서 데이터베이스도 대충 본상황이고 업무 프로세스와 신기술동항 교재도 하나도못본 상황이라서 떨어질거 각오하고 경험삼아보고 다음시험 합격을 예상하고 공부해야할 거 같아요...
안녕하세요.
큰 수 더하기를 할 경우 더해지는 값들의 자리수에 따라 올림수가 2개 발생하거나 1개 발생할 수 있습니다.
98765와 같이 5자리 정도의 값을 더하는 거이라 자리수가 적어 올림수가 1개 발생할 경우에는 첫번째 자리가 올림수이므로 두 번째 자리부터 값을 더하면 됩니다. 그래서 B(i+1)을 하는 것이죠.
원래의 순서도처럼 12자리의 값들을 더하기 할 경우 올림수가 2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앞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자리를 비워두고 세 번째 자리인 B(i+2)부터 더하는 것이구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4-17 09:46:03
안녕하세요.
큰 수 더하기를 할 경우 더해지는 값들의 자리수에 따라 올림수가 2개 발생하거나 1개 발생할 수 있습니다.
98765와 같이 5자리 정도의 값을 더하는 거이라 자리수가 적어 올림수가 1개 발생할 경우에는 첫번째 자리가 올림수이므로 두 번째 자리부터 값을 더하면 됩니다. 그래서 B(i+1)을 하는 것이죠.
원래의 순서도처럼 12자리의 값들을 더하기 할 경우 올림수가 2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앞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자리를 비워두고 세 번째 자리인 B(i+2)부터 더하는 것이구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