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행렬 변환
도서
[2012] 정보처리기사 실기
페이지
207
조회수
100
작성일
2012-10-08
작성자
첨부파일

1. 행렬변환

행렬변환에서 반복문 2개 나와있잖아요

첫번째 반복문 i = 1,row,1 j=1,col,1

두번째 반복문 i = 1,row,1 j=1,col,1

첫번째 반복문은 행이 5, 열이3이잖아요

근데 왜 두번째 반복문도 행이 5, 열이 3이죠?

배열 B는 행이 3이고 열이 5 아닌가요?? 디버깅 과정에도 행이 5, 열이 3이라고 나와있어어요. 왜그런지 알려주세요.

2. 삽입정렬

디버깅 하다가 보니까 이해가 잘 안가는 부분이 있어어요.정답및해설부록에 48페이지에요

A(K) A(K+1)

80 80 왜 80이 나와는지 잘 모르겠어요

A(K)가 80이고, A(K+1)50인지 알았거든요 책을 봐도 잘 모르겠어어요.자세하게 좀 말해주세요

답변
2012-10-09 09:27:26

안녕하세요.

1)

직접 디버깅을 수행하면서 이해하시면 좀 더 쉽게 이해가 됩니다.

빈 괄호를 채운 후 디버깅을 수행하여 진행 과정을 살펴본 후 앞선 알고리즘의 이해 부분에서 설명한 내용과 연계해 보면서 이해하시면 됩니다.

첫번째 알고리즘은 행(i), 열(J)의 변화에 따라 값을 저장하는 단계입니다.

5행 3열로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두번째 알고리즘은 5행 3열에 저장된 값을 하나씩 꺼내어 그것을 3행 5열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반복문은 5행 3열을 지정하고 안쪽의 15, 16번 동그라미에 의해 3행 5열로 변경되는 행과 열을 지정합니다.

이 과정을 디버깅을 통해 살펴보세요.

2)

디버깅을 수행해 보시면 2번째 값(50)을 Key로 저장합니다. 그런 다음 첫번째 자리와 비교하죠. 50, 즉 Key가 작으므로 첫번째 값을 한칸 뒤로 이동시킵니다(순서도의 10번 동그라미 부분). 그래서 처음에는 A(K)에 있던 80이 A(K+1)로 이동한 것이죠.

그래서 A(K)와 A(K+1)에 모두 80이 기록되게 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2-10-09 09:27:26

    안녕하세요.

    1)

    직접 디버깅을 수행하면서 이해하시면 좀 더 쉽게 이해가 됩니다.

    빈 괄호를 채운 후 디버깅을 수행하여 진행 과정을 살펴본 후 앞선 알고리즘의 이해 부분에서 설명한 내용과 연계해 보면서 이해하시면 됩니다.

    첫번째 알고리즘은 행(i), 열(J)의 변화에 따라 값을 저장하는 단계입니다.

    5행 3열로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두번째 알고리즘은 5행 3열에 저장된 값을 하나씩 꺼내어 그것을 3행 5열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반복문은 5행 3열을 지정하고 안쪽의 15, 16번 동그라미에 의해 3행 5열로 변경되는 행과 열을 지정합니다.

    이 과정을 디버깅을 통해 살펴보세요.

    2)

    디버깅을 수행해 보시면 2번째 값(50)을 Key로 저장합니다. 그런 다음 첫번째 자리와 비교하죠. 50, 즉 Key가 작으므로 첫번째 값을 한칸 뒤로 이동시킵니다(순서도의 10번 동그라미 부분). 그래서 처음에는 A(K)에 있던 80이 A(K+1)로 이동한 것이죠.

    그래서 A(K)와 A(K+1)에 모두 80이 기록되게 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