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문제가 맞지 않은듯 해서
다시 올립니다.
이제 i가 2가 되어 반복하되
SMALL과 LARGE가 2, 6이므로 2~6까지 반복되면서
배열에 2~6까지 저장합니다.
=> 이부분에 맞지 않는것 같습니다.
i > Q(3)
거짓이기 때문에
SMALL = SMALL +1;
LARGE = LARAGE - 1;
위 동그라미 친것처럼
8, 6이 됩니다.
2, 6으로 넘어가야 맞는것 같은데
저는 SMALL = 8이 LARGE = 6이 나오네요.
7번줄에서 8번줄 넘어가는 부분 검증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i가 1인 동안은 J만 SMALL(1) ~ LARGE(7)까지 변화되면서 배열에 저장합니다. 1~7까지
그런 다음 i > Q를 비교하죠, i가 1이고 Q는 3이므로 NO가 되어
SMALL은 1증가, LARGE는 1감소 됩니다. 그럼 LARGE는 2가 되고 SMALL은 6이 됩니다.
첨부한 그림의 디버깅 한 것에서는 i가 1일 때 SMALL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SMALL이나 LARGE의 변화는 i 값이 변할 때만 수행되는데, i가 1인 상태에서 SMALL이 왜 변화가 됐는지?
교재 해설에 수록된 디버깅 표를 다시한번 확인해 보세요.
그래도 잘 이해되지 않으시면 서면 보다는 02-323-0922(1시~5시)로 전화주시면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같이 디버깅을 해 보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2-09-14 09:24:05
안녕하세요.
i가 1인 동안은 J만 SMALL(1) ~ LARGE(7)까지 변화되면서 배열에 저장합니다. 1~7까지
그런 다음 i > Q를 비교하죠, i가 1이고 Q는 3이므로 NO가 되어
SMALL은 1증가, LARGE는 1감소 됩니다. 그럼 LARGE는 2가 되고 SMALL은 6이 됩니다.
첨부한 그림의 디버깅 한 것에서는 i가 1일 때 SMALL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SMALL이나 LARGE의 변화는 i 값이 변할 때만 수행되는데, i가 1인 상태에서 SMALL이 왜 변화가 됐는지?
교재 해설에 수록된 디버깅 표를 다시한번 확인해 보세요.
그래도 잘 이해되지 않으시면 서면 보다는 02-323-0922(1시~5시)로 전화주시면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같이 디버깅을 해 보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