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어서 올립니다.
플로차트 12번 단계 부터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옆에 전문가의 조언 부분에도 설명이 되어 있는것 같지만
영...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다시한번 쉽게 알려주세요ㅜㅜ
안녕하세요.
해당 값의 배수가 되는 위치의 값들은 모두 소수가 아님을 표시하기 위해 해당 위치에 0을 기억시키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i가 2일 때 A(i), 즉 A(2)의 값 3은 소수가 아니므로 3의 배수는 모두 소수가 아님을 알리기 위해 3의 배수가 들어 있는 자리
A(5) = 6, A(8) = 9, A(11) = 12, A(14) = 15, .... 번째 자리에 0을 치환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 i를 M에 이촿ㄴ한 후 M에 A(i)의 값인, 즉 3씩 증가시키면 3의 배수가 있는 위치인 A(5), A(8), A(11) .. 이 됩니다. 그 자리에 0을 기억시키게 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2-08-20 09:31:14
안녕하세요.
해당 값의 배수가 되는 위치의 값들은 모두 소수가 아님을 표시하기 위해 해당 위치에 0을 기억시키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i가 2일 때 A(i), 즉 A(2)의 값 3은 소수가 아니므로 3의 배수는 모두 소수가 아님을 알리기 위해 3의 배수가 들어 있는 자리
A(5) = 6, A(8) = 9, A(11) = 12, A(14) = 15, .... 번째 자리에 0을 치환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 i를 M에 이촿ㄴ한 후 M에 A(i)의 값인, 즉 3씩 증가시키면 3의 배수가 있는 위치인 A(5), A(8), A(11) .. 이 됩니다. 그 자리에 0을 기억시키게 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