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책 내용은 아니고.. ^^ 2012 2회 기사 대비 올려주신 알고리즘중...
도서
[2011] 정보처리기사 실기
페이지
조회수
117
작성일
2012-07-06
작성자
첨부파일

책 내용 물어보는것 같은데.. 그건 아니고요.. ;;

딴 곳에 묻는곳이 없는것 같아서.. 어쨌든...

2회 기사 대비 알고리즘만 유형5개 있는거에서요..

3번째.. 약수 구하는거..

마지막에 5번 답이 나누는 수 C인데요.. 이거 C말고도 MOK도 답이 되지 않나요?

그리고 4번째.. 배열.. 그거 4번에 답이 J+1인데.. 6도 되지 않나요..

어차피 주어진 배열은 5행 5열이니.. 6열로 지정하면 행 바뀌면서 -1씩 되서 5부터 시작하면

상관없는것 같은데..

마지막 5번째.. 2번 답이 CNT인데.. 제가 궁금한건.. 위에서 CNT=CNT-1 하잖아요?

EOF 비교해서.. 그럼 EOF(파일끝) 일때 CNT 값이 31이 되는건가요?

배열은 어차피 30까지니까 31은 아예 값이 올수 없지 않나요?

CNT=CNT-1로 인해 CNT는 29가 되고 2번에 CNT+1해줘야 끝번째 30이 되는거 아닌가요?

즉,,, EOF 끝나고 나서 CNT가 30인지 31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2012-07-09 09:47:53

안녕하세요.

1)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시험에서는 해당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가장 적합한 로직으로 연계되어 구현될 수 있도록 답안 선택시 유의하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MOK과 C가 같은 값을 갖는다면 굳이 MOK이라는 변수를 두어 별도의 계산 과정을 사용할 필요가 없겠죠.

MOK 변수를 이용한 이상 MOK 변수를 순서도 안에서 사용하여 구현해야 하므로 C보다는 MOK이 더 정확한 답이 될 수 있습니다.

2)

EOF란 End Of File의 약자로 파일의 끝인지를 묻는 예약어입니다.

파일에서 데이터를 읽을 데 데이터가 5개가 있다면 5번째 데이터를 읽을때 컴퓨터가 마지막 데이터라고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 더 읽어서 더이상 자료가 없음을 파악한 뒤에거 자료를 모두 읽었다고 판단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파일을 읽기 위해 접근하는 횟수는 실제 데이터의 개수보다 한개가 더 많습니다.

이런 경우 읽는 횟수를 이용해 데이터의 개수를 파악하려면 읽은 횟수에 -1을 해야 실제 데이터의 개수가 나오게 되죠.

그래서 데이터를 읽을 후 실제 처리할 데이터의 개수를 파악할 때 cnt=cnt-1을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2-07-09 09:47:53

    안녕하세요.

    1)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시험에서는 해당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가장 적합한 로직으로 연계되어 구현될 수 있도록 답안 선택시 유의하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MOK과 C가 같은 값을 갖는다면 굳이 MOK이라는 변수를 두어 별도의 계산 과정을 사용할 필요가 없겠죠.

    MOK 변수를 이용한 이상 MOK 변수를 순서도 안에서 사용하여 구현해야 하므로 C보다는 MOK이 더 정확한 답이 될 수 있습니다.

    2)

    EOF란 End Of File의 약자로 파일의 끝인지를 묻는 예약어입니다.

    파일에서 데이터를 읽을 데 데이터가 5개가 있다면 5번째 데이터를 읽을때 컴퓨터가 마지막 데이터라고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 더 읽어서 더이상 자료가 없음을 파악한 뒤에거 자료를 모두 읽었다고 판단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파일을 읽기 위해 접근하는 횟수는 실제 데이터의 개수보다 한개가 더 많습니다.

    이런 경우 읽는 횟수를 이용해 데이터의 개수를 파악하려면 읽은 횟수에 -1을 해야 실제 데이터의 개수가 나오게 되죠.

    그래서 데이터를 읽을 후 실제 처리할 데이터의 개수를 파악할 때 cnt=cnt-1을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