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볼 시간이 없어서 문제만 푸는데
문제 풀다보니 보기의 답항들을 모르겠네요
각 답항 설명좀요 아니며 페이지 라던가요
bcp
t-port
syn
usn
icmp
alt-text
drm
crl
u-port
psp
pet
net bios
appc
집단지성
sco
dvb-sh
mics
kms
적다보니 좀 많네요... 18개...
필기책에는 뒤에 단어목록 있어서 찾아 했는데 이건 영어 약자라 찾아 하기 힘드네요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업무 연속성 계획)
재난 발생 시 비즈니스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계획. 재해, 재난으로 인해 정상적인 운용이 어려운 데이터 백업과 같은 단순 복구뿐만 아니라 고객 서비스의 지속성 보장, 핵심 업무 기능을 지속하는 환경을 조성해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이 운용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한 평가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재해 백업 시스템 운용 체계를 마련하여 재해로 인한 업무 손실을 최소화하는 컨설팅 기능을 포함한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컨설팅-시스템 구축-시스템 관리의 3단계로 이뤄진다.
t-port(???)
동기 신호 방식에서 다른 기호를 전송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기를 취하거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되는 전송 제어 문자.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u-sensor network,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각종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d-hoc network 등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u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매우 활성화되고 있다. 센서의 종류로는 온도, 가속도, 위치 정보, 압력, 지문, 가스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최근에는 물류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에 태그(tag)를 부착하여 각종 물류정보의 흐름을 파악하는 기술도 등장하고 있다.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TCP/IP 기반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과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의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취급하는 무연결 전송(connectionless transmission)용의 프로토콜(RFC. 792). OSI 기본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층에 해당한다.
시각 장애인이 웹 사이트에 게시된 이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주는 글이나 문구. 장애인이 웹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표되는 방법으로,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 가운데 글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콘텐츠는 시각 장애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로 표시해야 한다.
디지털 미디어의 불법 또는 비인가된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저작권 소유자나 판권 소유자가 이용하는 정보 보호 기술의 일종인 접근 제어 기술. 디지털 저작권 관리는 음원, 영화 등의 창조적인 미디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디지털 미디어의 생명 주기 동안 발생하는 사용 권한 관리, 과금, 유통 단계를 관리하는 기술로 볼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는 디지털 미디어의 불법 유통과 복제를 방지하고, 적법한 사용자의 미디어 사용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 법령이나 위반자 단속에 앞서 사용을 허가하는 라이선스를 획득한 후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술적 통제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저작권 보호 관리를 위해서는 암호 기술, 키 관리 기술, 워터마킹 등 다양한 정보 보호 기술들이 활용된다.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인증서 폐기 목록)
폐기된 인증서를 이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그 목록을 배포, 공표하기 위한 메커니즘. 주로 인증 기관에서 관리하며 메시지를 전달할 때 인증서와 함께 전달된다. 인증서 폐기 목록에는 취소된 인증서들의 일련번호가 들어 있으며 이를 받은 당사자는 목록을 참조하여 취소된 인증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u-port(ubiquitous port, 유비쿼터스 항만)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하여 물류 흐름을 실시간으로 추적 관리하는 지능형 항만으로 정보 관리, 화물 관리, 선박 관리 등을 목적으로 한다. 전파 식별(RFID)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기술 등을 이용하여 차량이나 컨테이너 등에 관련 정보를 담은 태그를 부착하고 판독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화물의 이동과 처리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psp(PlayStation Portable, 휴대용 플레이스테이션)
일본 소니사가 개발한 손바닥 크기의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게임기는 물론 휴대용 DVD 플레이어, 휴대용 CD 플레이어로도 활용될 수 있는 다기능의 엔터테인먼트 제품이다. 소니의 차세대 저장 장치인 유니버설 미디어 디스크(UMB)를 전용 저장 매체로 사용하고, 무선 랜으로 일정 지역 안에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대전 게임을 즐기고 게임을 내려받는 등의 기능도 제공한다.
pet(Privacy Enhancing Technology,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
개인 정보 위험 관리 기술. 최근 심각한 위험으로 대두되고 있는 개인 정보 침해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암호화, 익명화 등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기술에서 사용자가 직접 개인 정보를 통제하기 위한 기술까지 다양한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을 통틀어 가리킨다.
netbios(넷바이오스)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와 IBM사가 제공하고 있는 PC-LAN에서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I로서만이 아닌 구내 정보 통신망(LAN)용 프로토콜의 기능도 가지고 있으며, 나중에 확장판에 해당하는 ‘NetBEUI(NetBIOS extended user interface)’가 등장하였다. 통신망에 참가하는 개인용 컴퓨터(PC) 등에 ‘NetBIOS명’을 부가해서 그 명칭을 근거로 통신을 실행하는데 현재 윈도 통신망의 기본형이 되어 있다.
IBM사의 시스템 네트워크 구조(SNA)의 일부로서 개발한 공통 기반이 되는 통신 프로토콜. 다른 종류의 컴퓨터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간에 대등하게 통신하거나 데이터를 직접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규칙의 집합과 하나의 공통 언어(conversation verb)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하고, 하위의 네트워크 기능 또는 종속 배열의 어느 것을 써서 처리하지 않더라도 서로 대화할 수 있게 한다.
다수의 개체가 서로 협력하거나 경쟁하여 얻게 되는 지적 능력의 결과로 얻어진 집단적 능력.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다양한 의견을 가진 개인의 지식이 모이면 개체적으로는 미미하게 보이나 집단적으로는 능력 범위를 넘어선 힘을 발휘해 특정 전문가나 기업의 전문 지식보다 더 우수하게 된다는 대중의 지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웹 2.0의 주요 개념이다.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link, 동기식 접속 지향 링크)
블루투스 데이터 링크의 하나. 두 장비 간에 음성과 같이 지정된 대역폭 통신을 위한 전용 회선의 동기식 접속 방법이다. 주로 음성 데이터인 동기식 접속 지향 링크(SCO) 패킷 전송에 사용된다. SCO 패킷은 주기적 덧붙임 검사(CRC)도, 재전송도 하지 않는다.
dvb-sh(DVB Satellite Handheld)
유럽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에서 표준화를 추진 중인 위성 이동 방송 전송 규격. 우리나라의 위성 DMB(S-DMB)와 유사한 규격으로 유럽에서 위성을 이용한 이동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디지털 영상 방송-위성(DVB-S)과 휴대 DVB(DVB-H)를 결합하여 만든 위성 이동 방송 전송 규격이다.
WBAN의 의료 분야에서 임플란트 장치 간 통신 서비스 명칭. 인체 내 통신으로 감쇄가 적은 주파수 사용이 필요하여 402~405MHz를 사용하고, 대역폭은 300KHz로 적어 가용 비율이 적다. 그리고 다른 통신에 혼신을 피하기 위하여 출력은 등가 등방성 복사 전력(EIRP) 기준 25㎼ 이하로 정하고 있다.
조직이나 기업의 인적 자원이 축적하고 있는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함으로써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 정보 시스템. 기업이나 조직의 지식을 이용하기 쉽게 축적하여 해당 지식을 기업의 전략이나 정책 수립, 의사 결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사람에게, 적절한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기존의 기업 정보 시스템은 기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치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만 담당했고 의사결정은 기업내 인적 자원이 수행해왔기 때문에 인적 자원이 떠나면 기업의 지식 자원도 함께 소실되는 폐단이 있었다. KMS는 인적 자원이 소유하고 있는 지적 자산을 기업 내에 축적,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기업 정보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한다.
-
*2012-06-29 09:21:04
안녕하세요.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업무 연속성 계획)
재난 발생 시 비즈니스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계획. 재해, 재난으로 인해 정상적인 운용이 어려운 데이터 백업과 같은 단순 복구뿐만 아니라 고객 서비스의 지속성 보장, 핵심 업무 기능을 지속하는 환경을 조성해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이 운용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한 평가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재해 백업 시스템 운용 체계를 마련하여 재해로 인한 업무 손실을 최소화하는 컨설팅 기능을 포함한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컨설팅-시스템 구축-시스템 관리의 3단계로 이뤄진다.
t-port(???)
syn(synchronous idle character, SYN, 동기 신호 문자)
동기 신호 방식에서 다른 기호를 전송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기를 취하거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되는 전송 제어 문자.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u-sensor network,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각종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d-hoc network 등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u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매우 활성화되고 있다. 센서의 종류로는 온도, 가속도, 위치 정보, 압력, 지문, 가스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최근에는 물류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에 태그(tag)를 부착하여 각종 물류정보의 흐름을 파악하는 기술도 등장하고 있다.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TCP/IP 기반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과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의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취급하는 무연결 전송(connectionless transmission)용의 프로토콜(RFC. 792). OSI 기본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층에 해당한다.
alt-text(Alternate Text, 대체 텍스트)
시각 장애인이 웹 사이트에 게시된 이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주는 글이나 문구. 장애인이 웹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표되는 방법으로,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 가운데 글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콘텐츠는 시각 장애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로 표시해야 한다.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저작권 권리)
디지털 미디어의 불법 또는 비인가된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저작권 소유자나 판권 소유자가 이용하는 정보 보호 기술의 일종인 접근 제어 기술. 디지털 저작권 관리는 음원, 영화 등의 창조적인 미디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디지털 미디어의 생명 주기 동안 발생하는 사용 권한 관리, 과금, 유통 단계를 관리하는 기술로 볼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는 디지털 미디어의 불법 유통과 복제를 방지하고, 적법한 사용자의 미디어 사용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 법령이나 위반자 단속에 앞서 사용을 허가하는 라이선스를 획득한 후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술적 통제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저작권 보호 관리를 위해서는 암호 기술, 키 관리 기술, 워터마킹 등 다양한 정보 보호 기술들이 활용된다.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인증서 폐기 목록)
폐기된 인증서를 이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그 목록을 배포, 공표하기 위한 메커니즘. 주로 인증 기관에서 관리하며 메시지를 전달할 때 인증서와 함께 전달된다. 인증서 폐기 목록에는 취소된 인증서들의 일련번호가 들어 있으며 이를 받은 당사자는 목록을 참조하여 취소된 인증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u-port(ubiquitous port, 유비쿼터스 항만)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하여 물류 흐름을 실시간으로 추적 관리하는 지능형 항만으로 정보 관리, 화물 관리, 선박 관리 등을 목적으로 한다. 전파 식별(RFID)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기술 등을 이용하여 차량이나 컨테이너 등에 관련 정보를 담은 태그를 부착하고 판독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화물의 이동과 처리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psp(PlayStation Portable, 휴대용 플레이스테이션)
일본 소니사가 개발한 손바닥 크기의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게임기는 물론 휴대용 DVD 플레이어, 휴대용 CD 플레이어로도 활용될 수 있는 다기능의 엔터테인먼트 제품이다. 소니의 차세대 저장 장치인 유니버설 미디어 디스크(UMB)를 전용 저장 매체로 사용하고, 무선 랜으로 일정 지역 안에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대전 게임을 즐기고 게임을 내려받는 등의 기능도 제공한다.
pet(Privacy Enhancing Technology,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
개인 정보 위험 관리 기술. 최근 심각한 위험으로 대두되고 있는 개인 정보 침해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암호화, 익명화 등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기술에서 사용자가 직접 개인 정보를 통제하기 위한 기술까지 다양한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을 통틀어 가리킨다.
netbios(넷바이오스)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와 IBM사가 제공하고 있는 PC-LAN에서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I로서만이 아닌 구내 정보 통신망(LAN)용 프로토콜의 기능도 가지고 있으며, 나중에 확장판에 해당하는 ‘NetBEUI(NetBIOS extended user interface)’가 등장하였다. 통신망에 참가하는 개인용 컴퓨터(PC) 등에 ‘NetBIOS명’을 부가해서 그 명칭을 근거로 통신을 실행하는데 현재 윈도 통신망의 기본형이 되어 있다.
appc(advanced program to program communication, 선진 프로그램 간 통신)
IBM사의 시스템 네트워크 구조(SNA)의 일부로서 개발한 공통 기반이 되는 통신 프로토콜. 다른 종류의 컴퓨터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간에 대등하게 통신하거나 데이터를 직접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규칙의 집합과 하나의 공통 언어(conversation verb)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하고, 하위의 네트워크 기능 또는 종속 배열의 어느 것을 써서 처리하지 않더라도 서로 대화할 수 있게 한다.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다수의 개체가 서로 협력하거나 경쟁하여 얻게 되는 지적 능력의 결과로 얻어진 집단적 능력.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다양한 의견을 가진 개인의 지식이 모이면 개체적으로는 미미하게 보이나 집단적으로는 능력 범위를 넘어선 힘을 발휘해 특정 전문가나 기업의 전문 지식보다 더 우수하게 된다는 대중의 지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웹 2.0의 주요 개념이다.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link, 동기식 접속 지향 링크)
블루투스 데이터 링크의 하나. 두 장비 간에 음성과 같이 지정된 대역폭 통신을 위한 전용 회선의 동기식 접속 방법이다. 주로 음성 데이터인 동기식 접속 지향 링크(SCO) 패킷 전송에 사용된다. SCO 패킷은 주기적 덧붙임 검사(CRC)도, 재전송도 하지 않는다.
dvb-sh(DVB Satellite Handheld)
유럽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에서 표준화를 추진 중인 위성 이동 방송 전송 규격. 우리나라의 위성 DMB(S-DMB)와 유사한 규격으로 유럽에서 위성을 이용한 이동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디지털 영상 방송-위성(DVB-S)과 휴대 DVB(DVB-H)를 결합하여 만든 위성 이동 방송 전송 규격이다.
mics(Medical Implant Communication Service)
WBAN의 의료 분야에서 임플란트 장치 간 통신 서비스 명칭. 인체 내 통신으로 감쇄가 적은 주파수 사용이 필요하여 402~405MHz를 사용하고, 대역폭은 300KHz로 적어 가용 비율이 적다. 그리고 다른 통신에 혼신을 피하기 위하여 출력은 등가 등방성 복사 전력(EIRP) 기준 25㎼ 이하로 정하고 있다.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지식 관리 시스템)
조직이나 기업의 인적 자원이 축적하고 있는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함으로써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 정보 시스템. 기업이나 조직의 지식을 이용하기 쉽게 축적하여 해당 지식을 기업의 전략이나 정책 수립, 의사 결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사람에게, 적절한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기존의 기업 정보 시스템은 기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치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만 담당했고 의사결정은 기업내 인적 자원이 수행해왔기 때문에 인적 자원이 떠나면 기업의 지식 자원도 함께 소실되는 폐단이 있었다. KMS는 인적 자원이 소유하고 있는 지적 자산을 기업 내에 축적,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기업 정보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한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