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출문제 2010년7월 정보처리기사 질문드립니다.
90도 회전인데요..
순서도 보고 첫번째 배열P를 막힘없이 했습니다~_~
하지만,
그다음 배열Q랑 배열P를 90도 회전해야하는 순서도인데 이해를 못하겠어요..
No일때 R(Y,H) = Q(L,Y)
Yes일때 Q(Y,H) = P(L,Y)
이건데 어떻게 배열에 나타나는건가요..
(L,Y)는 뭘 나타내는건지 (Y,H)는 또 뭔지..
디버깅 결과를 봐도 모르겠네요.. 이 문제좀 알려주세요 ㅠㅠ
변수선언 없어서 더 이해를 못하겠어요 ㅠㅠ
아! 그리고 DB에서요
CONSTRAINT뜻이 정확히 무엇인가요?
책 본문엔 제약조건의 이름지정,지정된 이름이 없으면 CHECK사용~이렇게 나오고..
기출문제 151페이지에서는 정확성보장하기위해 정확하지 않은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것이다. 라고 나와있는데 둘다 맞는 답인가요??
안녕하세요.
1)
본서 1권 218쪽 모의고사 08회에 수록되어 있으며, 관련 내용에 대한 자세한 해설이 정답및해설 86쪽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해설을 참고해서 내용을 파악해 보신 후 그래도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질문 주세요.
자세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2)
Constraint란 제약조건, 즉 특정 필드에 잘못된 값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건을 두는 것입니다. 조건 Check 옵션 이후 지정하는데, 이 조건에 부합되는 값만 입력받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2-04-20 09:29:07
안녕하세요.
1)
본서 1권 218쪽 모의고사 08회에 수록되어 있으며, 관련 내용에 대한 자세한 해설이 정답및해설 86쪽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해설을 참고해서 내용을 파악해 보신 후 그래도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질문 주세요.
자세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2)
Constraint란 제약조건, 즉 특정 필드에 잘못된 값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건을 두는 것입니다. 조건 Check 옵션 이후 지정하는데, 이 조건에 부합되는 값만 입력받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