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질문드려요ㅎㅎ
도서
[2012] 정보처리기사 실기
페이지
307
조회수
102
작성일
2012-04-12
작성자
첨부파일

모르는게 많아서 또 몰아서 질문을... 죄송합니다 ㅠㅠ

1. p307을 보면 교차엔티티가 '신청'개체 인건가요? 근데 왜 교차엔티티는 양쪽 개체의 기본키를 외래키로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2. p333의 3~4번째 줄에 있는 문장 "'사용자구분코드' 속성으로 인해 하나의 개소와 연관된 도일 사용자가 1명 이상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었다."가 이해가 가지 않아요. 사용자구분코드 하나에 여러개의 사용자정보가 포함돼서 그러는 건가요?
3. p363의 DISTINCTROW에 대한 설명을 보면 '튜플의 전체 값을 대상으로 할 때 사용한다'고 했는데 튜플 하나하나가 기본기 때문에 고유하지 않나요?
4. p364를 보면 산술연산자 *, /, +, -에 대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낮아진다고 했는데 곱셈와 나눗셈은 서로 같지 않나요? 덧셈과 뺄셈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5. p414의 마지막 박스 부분의 을 보면.. 첫번째와 세번째는 동등조인이고 두번째만 자연조인 아닌가요? 책부분의 설명과 달라 질문드려요~

6. p484의 밑의 '잠깐만요' 설명을 보면 '공유 잠금은 공유 잠금 서로 간에 접근을 허용하지만, 배타 잠금을 걸기 위해서는 데이터에 걸린 여러 개의 공유 잠금이 모두 해제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써있는데 공유잠금을 해제해주는건 따로 없지 않나요? 위의 표를 보면 lock-s(B)를 걸고 풀어주는 것 없이 lock-X(B)를 걸어주잖아요~
7. p521의 B+-트리의 설명이 있는 흑색박스를 보면 '루트 노드는 0 또는 2에서 m개 사이의 서브 노드를 가진다'고 했는데 이 말 뜻이 이해가 안가요 ㅎㅎ

바쁘실텐데 죄송합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답변
2012-04-13 10:07:56

안녕하세요.

1)

문제는 기출문제의 일부만 추출한 것입니다. 실제 문제에서는 다양한 릴레이션 관계도가 있는데, 우선 문제 1번을 풀기 위한 관계도만 표현되어 있고, 나머지 2번과 3번은 개념적인 내용으로 만 접근하여 풀 수 있게 수록하였습니다. 그러니 문제로 제시된 내용 안에서만 교차 엔티티와 다 대 다를 유추할 수 있다는 것만 파악해 두세요.

2)

이 문제 또한 일부만을 추출한 내용입니다.

사용자정보, 사용자개소관계, 개소정보, 제어개소정보, 사용자정보의 세부적인 값들이 표현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구분코드' 속성으로 인해 하나의 개소와 연관된 동일 사용자가 1명 이상 존재할 수 잇다는 것이 관리자로 부터 인지되었다는 것이 우리에게 주는 정보인 것입니다. 이는 관리자가 추가적인 어떤 정보를 보고 인지를 한것으로 우리에게 인지를 해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3 )으로 제시된 여러 부분을 참고하여 (3 )에 들어갈 내용이 교차엔티티 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것입니다.

3)

그래서 기본키 설정이 잘못된 경우를 찾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자주 사용되는 옵션은 아닙니다.

4)

우선순위가 같은 경우에는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처리됩니다. 동시에 수행할수는 없으니까요.

5)

동등조인은 = 또는 Join ~ Using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1번과 3번은 같은 표현이며, 2번도 결과가 같은 형태의 표현입니다.

6)

lock-S는 공유 잠금

lock-X는 베타 잠금

그리고 해제는 둘 다 unlock입니다.

7)

루트 노드는 0(없음) 또는 2개에서 m개 사이의 서브 노드를 갖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노드가 없거나 있다면 2개에서 m개 사이의 노드를 갖는 다는 의미입니다.

세부적인 형태를 파악하러면 복잡한 노드 관계까지 파악해야 하는데, 이는 시험 범위 밖으로 B+ 트리로 제시된 특징 정도만 파악하시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2-04-13 10:07:56

    안녕하세요.

    1)

    문제는 기출문제의 일부만 추출한 것입니다. 실제 문제에서는 다양한 릴레이션 관계도가 있는데, 우선 문제 1번을 풀기 위한 관계도만 표현되어 있고, 나머지 2번과 3번은 개념적인 내용으로 만 접근하여 풀 수 있게 수록하였습니다. 그러니 문제로 제시된 내용 안에서만 교차 엔티티와 다 대 다를 유추할 수 있다는 것만 파악해 두세요.

    2)

    이 문제 또한 일부만을 추출한 내용입니다.

    사용자정보, 사용자개소관계, 개소정보, 제어개소정보, 사용자정보의 세부적인 값들이 표현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구분코드' 속성으로 인해 하나의 개소와 연관된 동일 사용자가 1명 이상 존재할 수 잇다는 것이 관리자로 부터 인지되었다는 것이 우리에게 주는 정보인 것입니다. 이는 관리자가 추가적인 어떤 정보를 보고 인지를 한것으로 우리에게 인지를 해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3 )으로 제시된 여러 부분을 참고하여 (3 )에 들어갈 내용이 교차엔티티 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것입니다.

    3)

    그래서 기본키 설정이 잘못된 경우를 찾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자주 사용되는 옵션은 아닙니다.

    4)

    우선순위가 같은 경우에는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처리됩니다. 동시에 수행할수는 없으니까요.

    5)

    동등조인은 = 또는 Join ~ Using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1번과 3번은 같은 표현이며, 2번도 결과가 같은 형태의 표현입니다.

    6)

    lock-S는 공유 잠금

    lock-X는 베타 잠금

    그리고 해제는 둘 다 unlock입니다.

    7)

    루트 노드는 0(없음) 또는 2개에서 m개 사이의 서브 노드를 갖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노드가 없거나 있다면 2개에서 m개 사이의 노드를 갖는 다는 의미입니다.

    세부적인 형태를 파악하러면 복잡한 노드 관계까지 파악해야 하는데, 이는 시험 범위 밖으로 B+ 트리로 제시된 특징 정도만 파악하시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