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2011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책 53페이지 질문
도서
[2011] 정보처리기사 실기
페이지
53
조회수
136
작성일
2012-03-05
작성자
첨부파일

이 알고리즘은 디버깅을 해봐도 이해가 좀 안가서요

해설좀 부탁드립니다

k,g,s,j가 뜻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머가 누적함수고 머가 항인지도 모르겠어요 ㅠㅠ

답변
2012-03-06 09:03:02

안녕하세요.

정답 및 해설 17쪽에 변수 설명과 각 과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이 자세히 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의 해설이 잘 이해되지 않는다면 해당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일 수도 있으니 앞 섹션을 다시한번 참고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모의고사는 앞서 학습한 섹션들이 조금씩 변형된 것으로 앞서 학습한 섹션이 충분히 이해가 된 상태에서 풀어봐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더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섹션을 학습할 때도 먼저 알고리즘의 이해 부분을 숙지한 후 이해한 내용이 순서도에서 어떻게 연계되는지 그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먼저 순서도의 빈 괄호를 모두 채운 후 디버깅을 쭉 수행해 보는 것이죠. 디버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알고리즘 이해에서 학습한 내용과 연계를 해보는 것입니다. 아~ 이 부분이 이렇게 처리되는 구나~ 와 같이 ..

정보처리를 준비하는 수험생 대부분이 비전공자 이며, 같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유는 낯설기 때문입니다. 처음 영어를 시작할때와 같은 기분이죠.

방법은 최대한 많이 반복해서 읽어 낯설지 않게 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에야 내용들이 하나씩 이해할 수 있는 단계로 넘어서는 것이죠. 이미 학습을 해본 수험생들의 경험을 통해서도 확인된 내용이니 이점 참고해서 아래의 방법대로 준비하세요.
교재에 별책으로 동영상(DVD)과 함께 보는 책이 제공됩니다. 이 책에는 알고리즘 이해를 위한 대표 유형을 수록하였습니다.
대표유형을 수록한 것은 알고리즘은 많은 양을 하기보다는 몇개를 하더라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기위한 것이죠.
교재에 수록된 알고리즘은 모두 대표 유형에서 파생된 것들입니다. 그러니 대표 유형만 정확히 이해하면 나머지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시간은 초기 투자 시간에 비해 상당히 적은 시간으로 준비가 가능하다는 것이죠.
많은 알고리즘을 하기보다는 하나의 알고리즘을 하더라도 알고리즘의 이해 부분을 통해 해당 알고리즘이 무엇을 하는 것인지 확실히 이해한 후 순서도의 흐름까지 정확히 이해해서 스스로 디버깅을 하여 그 알고리즘을 확실히 이해해야 합니다.
나머지 알고리즘도 흐름의 원리는 유사하므로 하나만 정확히 이해했다면 나머지도 어렵지 않게 학습할 수 있으며, 이런 시기가 되면 아~ 하고 느낌이 옵니다.
최근들어 데이터베이스 1~2문항, 업무 프로세스 1~2 문항이 전공분야의 세부적인 내용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이 문제들을 맞추기 위해 비 전공자가 투자할 시간이나 분량이 너무 방대하므로 이 문제들을 제외한 나머지 교재에 충실한 문제들을 맞춰 합격하는 전략으로 학습하셔야 합니다.
알고리즘 30점, 데이터베이스 18점, 업무 프로세스 12점, 전산&신기술용어 8~10점을 목표로 학습하세요.
너무 조급해 하지 말고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정확히 이해를 하는 학습 습관을 들이세요. 나중을 봐서는 그것이 확실한 합격 전략이니까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2-03-06 09:03:02

    안녕하세요.

    정답 및 해설 17쪽에 변수 설명과 각 과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이 자세히 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의 해설이 잘 이해되지 않는다면 해당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일 수도 있으니 앞 섹션을 다시한번 참고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모의고사는 앞서 학습한 섹션들이 조금씩 변형된 것으로 앞서 학습한 섹션이 충분히 이해가 된 상태에서 풀어봐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더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섹션을 학습할 때도 먼저 알고리즘의 이해 부분을 숙지한 후 이해한 내용이 순서도에서 어떻게 연계되는지 그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먼저 순서도의 빈 괄호를 모두 채운 후 디버깅을 쭉 수행해 보는 것이죠. 디버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알고리즘 이해에서 학습한 내용과 연계를 해보는 것입니다. 아~ 이 부분이 이렇게 처리되는 구나~ 와 같이 ..

    정보처리를 준비하는 수험생 대부분이 비전공자 이며, 같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유는 낯설기 때문입니다. 처음 영어를 시작할때와 같은 기분이죠.

    방법은 최대한 많이 반복해서 읽어 낯설지 않게 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에야 내용들이 하나씩 이해할 수 있는 단계로 넘어서는 것이죠. 이미 학습을 해본 수험생들의 경험을 통해서도 확인된 내용이니 이점 참고해서 아래의 방법대로 준비하세요.
    교재에 별책으로 동영상(DVD)과 함께 보는 책이 제공됩니다. 이 책에는 알고리즘 이해를 위한 대표 유형을 수록하였습니다.
    대표유형을 수록한 것은 알고리즘은 많은 양을 하기보다는 몇개를 하더라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기위한 것이죠.
    교재에 수록된 알고리즘은 모두 대표 유형에서 파생된 것들입니다. 그러니 대표 유형만 정확히 이해하면 나머지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시간은 초기 투자 시간에 비해 상당히 적은 시간으로 준비가 가능하다는 것이죠.
    많은 알고리즘을 하기보다는 하나의 알고리즘을 하더라도 알고리즘의 이해 부분을 통해 해당 알고리즘이 무엇을 하는 것인지 확실히 이해한 후 순서도의 흐름까지 정확히 이해해서 스스로 디버깅을 하여 그 알고리즘을 확실히 이해해야 합니다.
    나머지 알고리즘도 흐름의 원리는 유사하므로 하나만 정확히 이해했다면 나머지도 어렵지 않게 학습할 수 있으며, 이런 시기가 되면 아~ 하고 느낌이 옵니다.
    최근들어 데이터베이스 1~2문항, 업무 프로세스 1~2 문항이 전공분야의 세부적인 내용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이 문제들을 맞추기 위해 비 전공자가 투자할 시간이나 분량이 너무 방대하므로 이 문제들을 제외한 나머지 교재에 충실한 문제들을 맞춰 합격하는 전략으로 학습하셔야 합니다.
    알고리즘 30점, 데이터베이스 18점, 업무 프로세스 12점, 전산&신기술용어 8~10점을 목표로 학습하세요.
    너무 조급해 하지 말고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정확히 이해를 하는 학습 습관을 들이세요. 나중을 봐서는 그것이 확실한 합격 전략이니까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