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석차구하기 바로출력 3번 괄호 (11번 단계)에서 질문입니다.
도서
[2011] 정보처리기사 실기
페이지
146
조회수
251
작성일
2011-10-14
작성자
첨부파일

석차구하기 바로출력 3번 괄호 (11번 단계)에서 질문입니다.

HAP(i)>HAP(J)가 정답으로 되어있고 이 경우에 현재 i가 가리키는 학생의 랭크를 하나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와있습니다.(R=R+1) 그런데 제 생각에는 HAP(i)가 기준이고 HAP(J)가 비교대상이기 때문에 HAP(J)가 HAP(i)보다 큰 경우에 HAP(i)의 랭크가 하나 증가해야 한다고 생각이 듭니다. 석차는 가장 높은 점수를 갖는 사람이 1인것이니까요. 따라서 HAP(i)>HAP(J)이 아니라 HAP(i)

상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2011-10-14 09:19:52

안녕하세요.

정렬에는 높은 것부터 낮은 순으로 정렬하는 내림차순과 낮은 순에서 높은 순으로 정렬하는 오름차순이 있습니다.

점수는 흔히 내림차순을 적용하여 높은 점수를 1위로 생성합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낮은 점수부터 산출하고 싶을때는 오름차순을 사용하기도 하죠. 이 알고리즘이 바로 오름차순이 적용된 형태입니다. 그래서 내림차순과 달리 부등호의 방향이 반대로 적용된 것입니다.

이점 염두에 두고 다시한번 디버깅을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1-10-14 09:19:52

    안녕하세요.

    정렬에는 높은 것부터 낮은 순으로 정렬하는 내림차순과 낮은 순에서 높은 순으로 정렬하는 오름차순이 있습니다.

    점수는 흔히 내림차순을 적용하여 높은 점수를 1위로 생성합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낮은 점수부터 산출하고 싶을때는 오름차순을 사용하기도 하죠. 이 알고리즘이 바로 오름차순이 적용된 형태입니다. 그래서 내림차순과 달리 부등호의 방향이 반대로 적용된 것입니다.

    이점 염두에 두고 다시한번 디버깅을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