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답글] 219쪽 모의고사문제 이해가 가질않습니다.
도서
[2011] 정보처리기사 실기
페이지
조회수
177
작성일
2011-10-12
작성자
첨부파일

저도 오늘 이문제 머리 꽁꽁 싸매고 거의1시간동안 봤는데 어느순간 감이오더라구요

일단 심다현님 질문에 답변을 해보자면요, 앞에 P(X,Y)=H 에 나오는 H와 뒤에나오는 반복문의 H=1,5,1 은 다른 숫자가 들어가게 됩니다. 앞에서의 H는 0에서 2씩 증가하는 숫자가 저장되는 변수이고요, 이때 H는 마지막에 50이라는 값을 갖고 있게되지만 뒤의 반복문안에 들어가게되면서 다시 1로 초기화되어 1부터5까지 1씩 증가하는 값을 갖게 되는겁니다. 즉 뒤의 반복문안에 들어가서 초기화 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다음은 임서현님께 답변을 이게 좀 복잡한 개념이라 저도 횡설수설할지 모르겠네요. ㅋㅋ
기본적으로 P배열을 90도회전해서 Q배열에 넣으려면 P배열의 열을 Q배열의 행으로 쓰고,
Q배열의 열은 6-P배열의행 이라는 공식이 존재하죠.. p(x,y)->Q(y,6-x) 이런식으로 말이죠.
이것만 알면 복잡하긴해도 언젠간 풀립니다.
일단 변수에 대한 정의를 보자면 ⓐ 이후에 나오는 반복문의 X는 회전수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보시면 X는 2와 1이라는 값밖에 갖지를 못하게 되죠. X가 2일때는 처음의 P배열을 90도회전시켜 Q로 넣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고 X가 1일때는 Q배열을 90도회전시켜 다시 마지막 P배열에 넣게되는 과정을 나타낸 거라고 보시면 되요. 여기까진 아시는 개념인가요.ㅎㅎ
그럼 Q(Y,H) = P(L,Y)의 과정을 설명을 드려볼께요.
P배열인 P(L,Y)를 Q배열에 옮기려면 일단 P배열의 열인 Y를 Q배열의 행으로쓰고 P배열의 행인 L을 6-L하여 Q배열의 열로 써야하죠. 간단히 표시해보자면
Q(Y,6-L) = P(L,Y) 이렇게 써야 되는 거지요. 근데 답항보기에는 Q(Y,6-L)이 없잖아요.
이쯤에서 H반복문을 다시보면 L=6-H라는 처리가 있지요. 이 L의값인 6-H를 Q(Y,6-L)의
L에 치환하면 Q[Y,6-(6-H)] 가 되어서 Q(Y,6-6+H) = Q(Y,H)가 되는 것이죠..
이런식으로 X가 1일때 즉, Q배열을 다시 90도회전하여 새로운 P배열에 넣을때는
P(Y,6-L)=Q(L,Y) 이 되겠죠. 여기서도 P(Y,6-L)의 L값에 6-H를 치환하면 P[Y,6-(6-H)], 즉
P(Y,H)가 되게 됩니다. 한참 L과 H의 연관성을 찾다가 알아내게 되었네요.
그리구 2번의 Y=1,5,1은 저도 처음에 감이 안와서 답항에서 찾아보다가 알아냈는데요,
밑의 P(L,Y)나 Q(L,Y)에서 힌트를얻어 Y는 열이니까 아무래도 1~5로 증가하는값이겠구나 짐작해서 답항에서 찾아보았구요 3번 L=6-H도 보면 P(L,Y)에서 L값이 행으로 쓰이잖아요. L값도 1~5까지 변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되나 이것저것 답항에서 대입해보다가 찾게되었습니다.
4번과 5번은 일일이 1.1->1.5, 1.2->2.5 이런식으로 바꿔서 위에공식에 들어맞나 대입해보고 노가다를 좀
했습니다. ㅎㅎ 여튼 답변이 되었길 바라며 화이팅요^^
답변
2011-10-13 10:55:05

...

"
  • *
    2011-10-13 10:55:05

    ...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