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질문과 중복 되긴 하지만 이해가 안가서요.
첫번째 빈칸 답이
답항 4번 INT(7/2)
라고 나와있고
세번째 빈칸 답이
답항 21번 Q
라고 되어있더라고요.
그런데 답항 36번 3 이라는 보기가 또 있죠
여기서 질문!!
1. Q가 중간항을 의미한다면 INT(7/2)+1 이어야 하는 건 아닌지
2. 첫번째 빈칸의 답으로 4번 답항이 맞는 거라면, 세번째 빈칸에 Q 대신 3이 들어가도 되는 건 아닌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중간 항은 순서도의 처리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즉 이 알고리즘과 같이 i > Q로 비교한 경우와 i >= Q로 비교한 경우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죠.
다시말해 순서도에서 중간이라는 의미는 배열의 중간이 아니라 앞의 처리과정과 달르게 처리하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SMALL이 증가하고 LARGE가 감소하다가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SMALL이 감소하고 LARGE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렇게 두 처리 과정이 변화되는 시점을 중간값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Q를 3으로 지정하였기 때문에 i가 1~3일때까지는 i>Q가 NO가 되어 SMALL을 증가하고 LARGE를 감소합니다.
그런 다음 i가 4~7일때까지는 i>Q가 YES가 되어 SMALL을 감소하고 LARGE를 증가시키는 것이죠.
이 문제와 같이 7행 7열로 고정되었다면 3이 들어가도 맞습니다. 답항보기에서 3을 제외해야 합니다. 학습에 혼동을 드려 죄송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10-10 09:38:28
안녕하세요.
중간 항은 순서도의 처리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즉 이 알고리즘과 같이 i > Q로 비교한 경우와 i >= Q로 비교한 경우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죠.
다시말해 순서도에서 중간이라는 의미는 배열의 중간이 아니라 앞의 처리과정과 달르게 처리하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SMALL이 증가하고 LARGE가 감소하다가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SMALL이 감소하고 LARGE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렇게 두 처리 과정이 변화되는 시점을 중간값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Q를 3으로 지정하였기 때문에 i가 1~3일때까지는 i>Q가 NO가 되어 SMALL을 증가하고 LARGE를 감소합니다.
그런 다음 i가 4~7일때까지는 i>Q가 YES가 되어 SMALL을 감소하고 LARGE를 증가시키는 것이죠.
이 문제와 같이 7행 7열로 고정되었다면 3이 들어가도 맞습니다. 답항보기에서 3을 제외해야 합니다. 학습에 혼동을 드려 죄송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