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답변이 없어서 다시 작성합니다
도서
[2011] 정보처리기사 실기
페이지
138
조회수
81
작성일
2011-09-27
작성자
첨부파일

순서도의 k=i-1,1,-1문 끝나고 A(K+1)=KEY가 답이더라고요.

근데 전 A(K)=KEY가 답 같은데....

설명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답변
2011-09-28 09:10:49

안녕하세요.

많이 질문하시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해당 페이지 사이드에 전문가의 조언으로 한번 더 언급해 두었으니 그 내용도 참고하세요.

이 알고리즘에서 특이한 것은 반복문에 사용된 반복변수가 처리과정에서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반복문의 반복 변수 k = i-1, 1, -1의 의미는

k를 i-1부터 1까지 -1씩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i가 3이라면

k는 2(i-1)가 되어 반복문을 실행합니다. 그런 다음 -1(증가치)을 적용한 후 k는 1이 되어 종료값(1)과 비교합니다. 종료값과 같으므로 반복문을 수행합니다.

그런 다음 다시 -1(증가치)을 적용한 후 k는 0이 되어 종료값(1)과 비교합니다. 종료값보다 적으므로 반복문을 실행하지 않고 빠져나옵니다.

이렇듯 반복문은 특성상 증가치를 적용한 후 종료값과 비교하므로 반복문을 빠져나올때는 마지막 증가치가 한번 더 적용된 상태에서 빠져나옵니다.

그동안 반복문의 반복변수가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지 않아 이런 부분을 간과하였는데, 이렇게 문제로도 출제될 수 있으니 확실히 파악해 두셔야 합니다.

그러므로 A(K+1)을 수행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1-09-28 09:10:49

    안녕하세요.

    많이 질문하시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해당 페이지 사이드에 전문가의 조언으로 한번 더 언급해 두었으니 그 내용도 참고하세요.

    이 알고리즘에서 특이한 것은 반복문에 사용된 반복변수가 처리과정에서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반복문의 반복 변수 k = i-1, 1, -1의 의미는

    k를 i-1부터 1까지 -1씩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i가 3이라면

    k는 2(i-1)가 되어 반복문을 실행합니다. 그런 다음 -1(증가치)을 적용한 후 k는 1이 되어 종료값(1)과 비교합니다. 종료값과 같으므로 반복문을 수행합니다.

    그런 다음 다시 -1(증가치)을 적용한 후 k는 0이 되어 종료값(1)과 비교합니다. 종료값보다 적으므로 반복문을 실행하지 않고 빠져나옵니다.

    이렇듯 반복문은 특성상 증가치를 적용한 후 종료값과 비교하므로 반복문을 빠져나올때는 마지막 증가치가 한번 더 적용된 상태에서 빠져나옵니다.

    그동안 반복문의 반복변수가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지 않아 이런 부분을 간과하였는데, 이렇게 문제로도 출제될 수 있으니 확실히 파악해 두셔야 합니다.

    그러므로 A(K+1)을 수행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