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
1.A:B로 되어서 1번은 <이고, 2번은 >=이잖아요..
밑에 디버깅에 A=15 B=12라고 입력을 하면 ..
A,B중 크면 big값이 달라지잖아요..
근데 거기서 >,<도 아니고 왜 >=인가요?..
옆에 사각형 박스로.. 같은지의 여부를 비교할 필요는 없습니다. 라고 되어있는데
그러면 >=아니고 >여두 되는 건가요?
자세한 답변 부탁드려요~ (설명도요_)
2.그리고 75page에 있는 내용중 ..
처음 디버깅값을 할때 (밑에 디버깅..)
b=2, c=23으로 입력되었을때 ,,
D가 1이면 .. 그 밑에 D:C에 .. D=1이고, C=23 이어서 D:C일때 1<=23이잖아요..
그럼 바로 밑에 .. D>1이면...1>1이라는 값인데.. 여기서 yes로 내려가지 않고, no로 내려가서 e=int(c/d)값을 실행해주는 데.. 왜 거기서 E가 1로 나오나요?
제가 풀어본 결과 .. E=int(23/1) 이면.. E값이 23으로 나와야 하는거 아닌가요?
이것도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ㅠㅠ
안녕하세요.
1)
예 .. 같은 경우에는 어느쪽에서 처리하는 관계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문제의 처리조건에 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하라는 조건이 제시되며, 이에 따라 처리하시면 됩니다.
교재에서는 하나의 방법을 알리기 위해 >=으로 정답을 처리한 것이니 참고하세요.
2)
D<=C인 경우에는 5번으로 처리과정이 진행됩니다. 즉 D=D*B가 수행됩니다. 결국 D는 24가 되어 C보다 커진 경우 6번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이죠.
이점을 염두에 두고 다시한번 디버깅을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9-22 09:21:06
안녕하세요.
1)
예 .. 같은 경우에는 어느쪽에서 처리하는 관계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문제의 처리조건에 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하라는 조건이 제시되며, 이에 따라 처리하시면 됩니다.
교재에서는 하나의 방법을 알리기 위해 >=으로 정답을 처리한 것이니 참고하세요.
2)
D<=C인 경우에는 5번으로 처리과정이 진행됩니다. 즉 D=D*B가 수행됩니다. 결국 D는 24가 되어 C보다 커진 경우 6번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이죠.
이점을 염두에 두고 다시한번 디버깅을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