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2010책으로 공부하는데요 작년부터 해서 올해까지 시험 3번 떨어졌거든요.
매번 알고리즘은 다맞는데 디비에서 두개씩 꼭 틀려서 58점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번에 11년 3회 실기 시험 다시 신청했는데 기출문제를 보다가 생각나서 질문드립니다.
2010 책 디비 내용중에
RTRIM, Content Reference, MARC, MDR, 상호운용성
이거 책에 나오나요?
시험장에서 저것들을 몰라서 찍어서 틀렸거든요 책에 나온다면 2010책 몇페이지에 나오는 좀 알려주세요.
제가 못본것인지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문의하신 문제는 2010년 4회 이후에 출제된 내용으로 2011년 교재에 추가로 수록된 내용입니다.
기존 출제 형태와 다르게 새롭게 출제되는 부분은 대부분 출제 이후 교재에 수록됩니다.
RTRIM
문자열의 오른쪽 공백을 제거하는 함수입니다.
SQL 튜닝 시 인데스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TRIM(공백제거), RTRIM(오른쪽 공백제거), LTRIM(왼쪽 공백제거) 등의 연산자가 자주 사용됩니다.
Content Reference
데이터의 물리적 주소나 위치에 의하지 않고 논리적인 값에 따라 데이터를 참조하는 것을 말합니다.
MARC(MAchine Readable Cataloging)
모든 데이터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시킨 다음 정형화된 형식으로 배열해야 하는 것이며, 컴퓨터가 목록 데이터를 식별하여 축적·유통할 수 있도록 코드화한 일련의 메타데이터 표준 형식이다. MARC는 도서관의 자동화된 목록 작성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메타데이터 형식 표준으로 도서관 간에 목록 레코드를 상호 교환하기 위해 미국 의회 도서관이 개발하였다. 1965년 LC MARC Ⅰ이 발표되었고, 1968년 LC MARCⅡ가 개발되어 각국의 목록 자동화 및 표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MDR(MetaData Registry)
메타데이터의 등록과 인증을 통하여 메타데이터를 유지·관리하며, 메타데이터의 명세를 공유하는 레지스트리와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에 대한 접근과 사용을 촉진한다. MDR은 메타데이터가 설명하는 특징에 따른 데이터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 공유를 위하여 서로 다른 레지스트리 간의 상호 운용을 위한 구조를 갖고 있다.
상호운용성
같은 기종 또는 다른 기종의 기기끼리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고, 정보 교환이나 일련의 처리를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9-22 09:45:55
안녕하세요.
문의하신 문제는 2010년 4회 이후에 출제된 내용으로 2011년 교재에 추가로 수록된 내용입니다.
기존 출제 형태와 다르게 새롭게 출제되는 부분은 대부분 출제 이후 교재에 수록됩니다.
RTRIM
문자열의 오른쪽 공백을 제거하는 함수입니다.
SQL 튜닝 시 인데스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TRIM(공백제거), RTRIM(오른쪽 공백제거), LTRIM(왼쪽 공백제거) 등의 연산자가 자주 사용됩니다.
Content Reference
데이터의 물리적 주소나 위치에 의하지 않고 논리적인 값에 따라 데이터를 참조하는 것을 말합니다.
MARC(MAchine Readable Cataloging)
모든 데이터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시킨 다음 정형화된 형식으로 배열해야 하는 것이며, 컴퓨터가 목록 데이터를 식별하여 축적·유통할 수 있도록 코드화한 일련의 메타데이터 표준 형식이다. MARC는 도서관의 자동화된 목록 작성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메타데이터 형식 표준으로 도서관 간에 목록 레코드를 상호 교환하기 위해 미국 의회 도서관이 개발하였다. 1965년 LC MARC Ⅰ이 발표되었고, 1968년 LC MARCⅡ가 개발되어 각국의 목록 자동화 및 표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MDR(MetaData Registry)
메타데이터의 등록과 인증을 통하여 메타데이터를 유지·관리하며, 메타데이터의 명세를 공유하는 레지스트리와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에 대한 접근과 사용을 촉진한다. MDR은 메타데이터가 설명하는 특징에 따른 데이터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 공유를 위하여 서로 다른 레지스트리 간의 상호 운용을 위한 구조를 갖고 있다.
상호운용성
같은 기종 또는 다른 기종의 기기끼리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고, 정보 교환이나 일련의 처리를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