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부호와 절대치
1의 보수
2의 보수
3가지 모두 음수를 표현하기 위한 값이잖아요.
이 세가지의 정확한 개념이 뭐죠?? 그리고 차이점은요??
"보수"란 말이 와 닿지가 않아요..
안녕하세요.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가산기(덧셈기)를 통해 계산을 처리합니다.
그래서 뺄셈도 덧셈기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보수입니다.
보수란 쉽게 말하면 반대로 세어 가는 수로
25란 값을 1부터 세면 25번째 값이지만
100부터 반대로 세면 75번째 수가 됩니다.
위에서는 3자리(100)에서 생각해 봤는데,
2자리(10)에서 생각해 볼게요.
6은 1부터 세면 6번째 이지만
10에서부터 반대로 세면 4번재 수가 됩니다.
즉 6의 10의 보수는 4입니다.
이를 n의 보수라고 합니다.
그럼 6의 9의 보수는 n-1의 보수가 되며, n-1의 보수인 경우 n의 보수에 +1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진수의 경우 1의 보수와 2의 보수가 있죠.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해주는 원리와 같습니다.
부호화절대치, 1의 보수, 2의 보수 모두 수치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표현 방법이 다른 것 뿐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9-16 10:20:59
안녕하세요.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가산기(덧셈기)를 통해 계산을 처리합니다.
그래서 뺄셈도 덧셈기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보수입니다.
보수란 쉽게 말하면 반대로 세어 가는 수로
25란 값을 1부터 세면 25번째 값이지만
100부터 반대로 세면 75번째 수가 됩니다.
위에서는 3자리(100)에서 생각해 봤는데,
2자리(10)에서 생각해 볼게요.
6은 1부터 세면 6번째 이지만
10에서부터 반대로 세면 4번재 수가 됩니다.
즉 6의 10의 보수는 4입니다.
이를 n의 보수라고 합니다.
그럼 6의 9의 보수는 n-1의 보수가 되며, n-1의 보수인 경우 n의 보수에 +1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진수의 경우 1의 보수와 2의 보수가 있죠.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해주는 원리와 같습니다.
부호화절대치, 1의 보수, 2의 보수 모두 수치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표현 방법이 다른 것 뿐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