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1] 10번. A(E+1) 을 출력하는데 디버깅을 보면 A(E)나 A(E+1)같은게 없잖아요. 뭐죠?
질문2] 10번. 그리고 E가 1-0-1-1-1순으로 오잖아요. 2진수라서 1이나 0으로 오는것 같긴한데
A(1), A(0), A(1), A(1) 이거는 배열 A(16)에 1,0,1,1,1 순으로 온다는건가요 아니면
A(1) 배열은 뭐고, A(0) 배열은 뭐고, 다시 A(1) 배열은 ?? 뭔가 이상...이해불가
안녕하세요.
A배열에 값을 저장해 두고 출력할 값을 A배열에서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입니다.
A의 첫번째 즉 A(1)에는 0, A(2)에는 1 ... A(16)에는 F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또한 출력할 변수인 A(E+1)의 값은 디버깅 표에서 출력으로 표기된 부분입니다.
E가 구해진 진수이며 E를 출력하기 위해 A(E+1)을 사용하여 출력하는 것입니다.
배열의 1의 자리에 0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E를 그대로 출력하면 원하는 값보다 1 작은 값이 출력됩니다.
즉 E가 1인 경우 A(E)를 하면 1이 아니라 0이 출력되는 것이죠.
그래서 A(E+1)을 하여 원하는 값을 출력하는 것인데, 이는 배열의 위치와 저장된 값의 차이 때문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9-15 09:25:59
안녕하세요.
A배열에 값을 저장해 두고 출력할 값을 A배열에서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입니다.
A의 첫번째 즉 A(1)에는 0, A(2)에는 1 ... A(16)에는 F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또한 출력할 변수인 A(E+1)의 값은 디버깅 표에서 출력으로 표기된 부분입니다.
E가 구해진 진수이며 E를 출력하기 위해 A(E+1)을 사용하여 출력하는 것입니다.
배열의 1의 자리에 0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E를 그대로 출력하면 원하는 값보다 1 작은 값이 출력됩니다.
즉 E가 1인 경우 A(E)를 하면 1이 아니라 0이 출력되는 것이죠.
그래서 A(E+1)을 하여 원하는 값을 출력하는 것인데, 이는 배열의 위치와 저장된 값의 차이 때문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