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정답 및 해설에서 보면요
8쪽 디버깅표 에서요
i = 0 J = 1
쓰고 옆에는 무든 칸들을 비우고
그 밑에서 부터
시작되는거 아니에요??
동영상과 함께보는 책에서 보면
디버깅을 배울때,
14페이지
i = 0 J= 0
을 그리고 옆에는 비웠잖아요,
플로차트를 보면
yes를 받는 화살표 밑에 있는 처리문 부터 디버깅을 실질적으로 시작햇는데,
정답 및 해설에서 보면요
8쪽 디버깅표 에서도 맨 위칸 i 하고 J만 적고 옆칸은 비우고
2번째 줄부터 시작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이해가 안되요,
정답 8페이지가 , 책 35쪽 부분인데, 1, 2 번 처리를 하고 난뒤 3번으로 가는데
3번을 하고 나야 mod 처리문을 할 수 있는데, 8페이지 정답표를 보면,
1, 2번 처리문을 하고 나서 mod문을 처리했는 것처럼 나와 있짢아요...
이상해요,,,
저 말 이해가 될지 모르겠지만... 정말 모르겠어요,, ㅠㅠ 아.. 답변좀 빨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석적인 방법은 가로의 위치들로 맞춰서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실제 시험장에서는 시험지의 빈 공간에 디버깅을 해야 합니다.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가로의 위치까지 맞춰서 디버깅 하기 어렵죠.
그래서 가로의 위치는 무시하고 각 변수의 값들을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기록하여 변수의 값 변화만 확인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입니다.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로의 위치를 큰 의미가 없으니까요.
그러니 교재 정답 디버깅 표 처럼 가로의 위치는 무시하고 각 변수의 값 변화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9-01 09:18:16
안녕하세요.
정석적인 방법은 가로의 위치들로 맞춰서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실제 시험장에서는 시험지의 빈 공간에 디버깅을 해야 합니다.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가로의 위치까지 맞춰서 디버깅 하기 어렵죠.
그래서 가로의 위치는 무시하고 각 변수의 값들을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기록하여 변수의 값 변화만 확인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입니다.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로의 위치를 큰 의미가 없으니까요.
그러니 교재 정답 디버깅 표 처럼 가로의 위치는 무시하고 각 변수의 값 변화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