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입정렬에 이해가 안가서 검색을 해보고 답변을 보고 다시 질문을 드립니다.
밑에 답변은 해주신 것을 보면 ..
---------------------------------------------------------------------------------------------------
안녕하세요.
질문이 많이 오는 부분으로 해당 페이지 사이드에 자세한 설명을 두었습니다.
반복문에서 사용하는 반복변수는 반복문을 빠져나올때 증가치를 한번더 적용한 상태로 빠져나옵니다.
즉 K가 -1씩 증가하여 1이 될때까지 반복문을 수행합니다.
K가 1인 상태면 반복문을 마지막으로 반복한 후 바로 빠져나오는 것이 아니라 증가치(-1)를 적용하여 K가 0이된 상태에서 종료 기준값(1)과 비교한 후 빠져나오는 것입니다.
그리러므로 반복문을 빠져나올때 반복변수의 값은 종료 기준값보다 증가치가 한번 더 적용된 상태인 것이죠.
그래서 K가 1이 아닌 0으로 빠져나오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이렇게 되어 있던데 그러면 보든 반복문에서 증가치를 한번더 적용 하는 것인가요???
반복변수를 보면 시작값, 끝값, 증가치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데 왜 삽입정렬에서 증가치를 한번더 하는지 이해가 가지를 않습니다. 만약에 반복변수가 3, 0 , -1 로 되어 있으면 3, 2, 1, 0, -1까지 반복이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예, 맞습니다. 원칙적으로 반복문을 빠져나올때 반복변수는 증가치가 한번더 적용된 값을 가지고 빠져나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알고리즘에서는 반복문의 반복 변수를 반복문 안에서만 사용하므로 빠져나올때의 값은 의미가 없기때문에 디버깅에 기술하지 않은 것이죠.
하지만 교재에 수록된 삽입정렬 문제에서는 반복문에서 사용한 반복변수가 반복문을 빠져나온 이후에도 사용이 되므로 의미가 있게 된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7-15 09:45:21
안녕하세요.
예, 맞습니다. 원칙적으로 반복문을 빠져나올때 반복변수는 증가치가 한번더 적용된 값을 가지고 빠져나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알고리즘에서는 반복문의 반복 변수를 반복문 안에서만 사용하므로 빠져나올때의 값은 의미가 없기때문에 디버깅에 기술하지 않은 것이죠.
하지만 교재에 수록된 삽입정렬 문제에서는 반복문에서 사용한 반복변수가 반복문을 빠져나온 이후에도 사용이 되므로 의미가 있게 된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