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기 책 보면서 공부하던중에 궁금한 게 있어서 질문드려요..
책 166-7 페이지의 문제인데요. 오른쪽 순서도에서 1번답이 list1 또는 A(N1) 둘다 될 수 있지 않나요?
2번도 역시 List 2 또는 B(N2) 이구요..
둘다 다 답이 될 수 있는 것인데.. 왜 아닌지 궁금해요..
그리고 185 페이지의 순서도에서 2번 공간에 채워질 답이 i>=3 이라고 정답 책에 나와 있던데.. 그것도 i=3이 되었을 때 디버깅 값이 다르더군요.. 제 생각에는 i>=4 이어야 할 것 같은데..
이것도 확인해주세요..
참 제 책은 2011 정보처리기사 실기입니다.
안녕하세요.
1)
처리조건 1번에 제시된 가장 적합한 로직으로 구현하라는 조건이 있습니다.
순서도의 초기에 List1에 A(N1)을 저장하고, List2에 A(N2)를 저장한다는 것은 List1과 List2를 이후 A(N1)과 A(N2) 대신 사용하겠다는 의도 입니다. 이러한 의도를 파악하는 것도 시험의 한 부분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 처리조건 1번에 제시된 내용입니다.
이전 시험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는 보기가 2개가 제시된 경우 위에서 언급한 내용에 준하여 하나만을 정답으로 처리한 경우가 있었으니 이점 참고하세요.
2)
이 부분은 디버깅을 하지 않으면 실수 할 수 있는 부분으로 많이 질문하는 부분입니다.
직접 디버깅을 수행해 보시면 알 수 있듯이 배열에 값을 저장한 후 위치를 변화하느냐, 위치를 변화한 후 배열에 값을 저장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순서도는 배열에 값을 먼저 저장한 후 위치를 변화하므로 교재에 제시된 답안이 맞습니다.
이점을 염두에 두시고 다시한번 디버깅을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6-30 09:28:19
안녕하세요.
1)
처리조건 1번에 제시된 가장 적합한 로직으로 구현하라는 조건이 있습니다.
순서도의 초기에 List1에 A(N1)을 저장하고, List2에 A(N2)를 저장한다는 것은 List1과 List2를 이후 A(N1)과 A(N2) 대신 사용하겠다는 의도 입니다. 이러한 의도를 파악하는 것도 시험의 한 부분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 처리조건 1번에 제시된 내용입니다.
이전 시험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는 보기가 2개가 제시된 경우 위에서 언급한 내용에 준하여 하나만을 정답으로 처리한 경우가 있었으니 이점 참고하세요.
2)
이 부분은 디버깅을 하지 않으면 실수 할 수 있는 부분으로 많이 질문하는 부분입니다.
직접 디버깅을 수행해 보시면 알 수 있듯이 배열에 값을 저장한 후 위치를 변화하느냐, 위치를 변화한 후 배열에 값을 저장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순서도는 배열에 값을 먼저 저장한 후 위치를 변화하므로 교재에 제시된 답안이 맞습니다.
이점을 염두에 두시고 다시한번 디버깅을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